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또다시 역대 최저 수준을 경신했다.
이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코로나19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 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다만 정부의 금융 지원책이 끝날 경우 코로나발 '착시 효과'에 가려진 대출 부실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감독원이 31일 발표한 '2021년 6월 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54%로, 기존 최저치였던 지난 1분기 말(0.62%)보다 0.08%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역대 최저치로, 지난해 같은 달(0.71%)에 비해서도 0.17%p 낮은 수준이다. 부실채권은 3개월 이상 연체돼 떼일 위험이 있는 대출금을 뜻한다.
코로나19 사태가 아직 대출 부실로 이어지지는 않은 모습이다. 저금리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 완화,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정책 효과 등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부실채권 비율을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은 0.76%로, 전분기보다 0.13%p 내렸다.
대기업여신(1.00%)과 중소기업여신(0.65%)은 전분기보다 각각 0.18%p, 0.10%p 내렸고, 개인사업자여신(0.23%)도 0.04%p 하락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18%로, 전분기보다 0.02%p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전분기보다 0.02%p 내린 0.13%, 기타 신용대출은 0.02%p 하락한 0.28%였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 비율은 전분기와 유사한 0.97%다.
부실채권 규모는 12조2천억원으로, 전 분기에 비해 11.5%(1조6천억원)이나 감소했다.
기업여신이 10조5천억원으로 대부분(86.0%)을 차지했다. 이어 가계여신 1조6천억원, 신용카드 채권 1천억원 순이었다.
2분기 중에 새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전분기보다 2천억원 늘어난 2조6천억원이다.
이 중 기업여신이 2조원으로 전분기보다 2천억원 증가했고, 가계여신은 전분기와 비슷한 5천억원이었다.
2분기 중 정리된 부실채권은 4조2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5천억원 늘었다.
은행들이 대출해준 돈을 떼이는 상황에 대비해 쌓아두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55.1%로 집계됐다. 전분기에 비해 17.7%p,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3.8%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