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유행 '전주곡'···경제 또 멈추나

입력 2020-06-19 17:41
<앵커>

수도권은 물론 충청지역까지 코로나19 감염이 이어지며 그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쉽게 시행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4일부터 17일까지 2주간 일평균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43.4명.

지난주까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됐지만 이제 충청지역으로도 그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2주 평균 확진자가 50명을 넘어선다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회귀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럴 경우 국내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라 정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이지평 /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사회적 거리두기 하면 활동제한이나 영업규제가 강해지잖아요. 다시 수요가 악화될 수가 있고 하반기 이후 경제 회복에 조금 부담이 되겠죠."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됐던 올 1분기 국내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대비 1.3% 감소했는데, 2008년 말 3.3% 감소를 기록한 이후 1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특히 민간소비는 지난 분기 대비 3.1% 줄었고, 서비스업은 2.4% 감소하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였던 1998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저조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창이었던 4월 카드이용금액은 69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2%나 감소해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여신금융협회 관계자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다보니까 서비스 업종에서 소비가 조금 적었고 소매판매 쪽도 적었습니다."

항공이나 철도 등 운수업종 4월 카드승인금액은 4,5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가까이 감소했고, 여행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은 각각 50%, 10% 이상 줄어들었습니다.

<인터뷰> 정욱 /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교수

"관광업이 상반기 하반기로 봤을 때, 상반기 때는 너무 힘들었던 시기였고, 하반기에도 힘들 것으로 예견이 되는데···여기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프레임을 씌우기 위해서는 방역 단계가 보다 더 시스템화 되고 조금 더 체계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거죠."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갔을 때, 이전과 같은 경기 침체와 파장을 겪지 않기 위해 더욱 촘촘한 체계와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문형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