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소비와 생산은 물론, 글로벌 수요까지 직격탄을 맞으면서 내수·수출기업의 경기전망을 큰 폭으로 끌어내렸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2,2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BSI)는 지난 1분기보다 18포인트 하락한 57로 집계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의 55에 근접한 수치로 낙폭 역시 이 때(-24p) 이후 최대치다.
대한상의는 "감염병 확산에 따른 매출 감소와 생산 차질이 자금 회수를 차단해 기업을 극심한 자금 압박에 몰아넣는 실물-금융 간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업들이 느끼는 피해는 수치로도 입증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활동에 피해를 입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71.3%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내수위축에 따른 매출 감소(70.3%)'가 가장 컸고, '글로벌 수요 부진에 따른 수출 감소(30.1%)', '중국산 부품·자재조달 어려움(29.4%)'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복수응답)
'작년 1분기 실적 대비 올해 1분기 매출액 감소폭'에 대한 예상은 평균 22%로 집계됐다.
'과거 경제위기와 비교한 산업현장의 피해 정도'는 'IMF 외환위기 때와 유사(41.4%)하거나 더 크다(35.6%)' 응답이 지배적이었다.
'금융위기 때와 유사(41.8%)하거나 더 크다(41.4%)'는 응답도 '더 적다(16.8%)'는 답변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전국의 모든 지역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특히 코로나19로 2월 관광객이 40% 넘게 감소하는 등의 피해를 입은 '제주(43)'와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이 높은 '충남(43)', '대구(50)', '경북(51)'등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감염병 피해가 큰 대구·경북지역에 밀집한 '섬유·의류(45)', '자동차·부품(51)', '기계(59)' 부문을 중심으로 모든 업종의 체감경기가 기준치를 밑돌았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는 '금융·세제 지원(72%)'과 '공정거래, 세무조사 등 기업조사 유예(35.3%)', '조업재개를 위한 외교적 노력(31.4%)', '내수·관광 회복을 위한 인센티브(28.5%)', '서비스·신산업 관련 규제개혁(15.7%)' 등을 차례로 답했다.(복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