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중국의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대중국 수출과 중국에서의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도미노 충격을 한동안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2월 산업생산은 작년 동월보다 13.5% 급감했다.
월간 산업생산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해마다 1월과 2월을 오가는 음력 설인 춘제(春節) 요인으로 1월과 2월에만 두 달 치를 묶어 한 번에 발표한다.
작년 12월 중국의 산업생산 증가율은 6.9%였다.
시장이 예상한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3%였다. 실제 발표된 결과는 예상보다 훨씬 나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산업생산을 비롯해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가 '극적인 붕괴'(dramatic collapse)를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이처럼 1∼2월 산업생산 지표가 추락한 것은 이 기간 중국 내 대부분 산업 시설이 코로나19 여파로 운영을 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에서는 1월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우한 폐렴' 우려가 서서히 커졌다.
1월 23일 우한 봉쇄를 시작으로 중국의 코로나19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고 중국 정부는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극단적인 인구 유동 억제 정책을 펴면서 생산, 유통, 소비에 이르는 경제 전반 영역이 급속도로 위축됐다.
1∼2월 산업생산 지표가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오면서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우려도 점차 커지고 있다.
중국 안팎에는 중국 경제가 올해 1분기에 문화대혁명 후 첫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싱가포르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는 중국의 올해 1분기 성장률이 -6.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생산은 특히 경제성장률과 관련성이 높은 지표다.
이날 발표된 다른 주요 지표도 모두 시장의 예상을 크게 밑도는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다.
1∼2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20.5%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인 -1.7%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귀금속·보석(-41.1%), 자동차(-37%), 가구(-33.5%), 의류(-30.9%), 건축자재(-30.5%), 가전(-30.0%) 등 여러 제품의 소비가 급감했다.
인프라 시설 투자를 포함한 고정자산투자 역시 1∼2월 24.5% 급감했다.
한편, 도시 실업률도 6.2%로 높아졌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2월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국제사회에서는 대체로 코로나19 충격으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일반적으로 예상했던 6.0%가량에서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본다.
무디스는 최근 펴낸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5.2%에서 4.8%로 낮췄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부진이 계속되는 한 우리나라의 산업과 경제에 드리운 먹구름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는 전체의 25.1%다.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수출 피해가 발생하면 올해 '수출 3% 증가' 목표를 달성하기는 물론 연간 기준으로 마이너스가 나올 가능성도 높다는 관측이다.
이미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산과 수출 차질은 현실화 됐다. 지난 13일 발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2월 자동차 산업 월간 동향(잠정치)'을 보면 중국산 부품 조달 차질,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생산은 26.4%, 수출은 25.0%나 감소했다.
중국 산업생산 첫 마이너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