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고강도 규제로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많지만 침체기에는 가격이 더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부동산114는 부동산 침체기였던 2008년~2013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0.03%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14.0%, 인천 -3.1% 등 수도권 지역은 평균 11.12% 떨어졌습니다.
특히 서울은 '똘똘한 지역'으로 통하는 한강 이남의 하락폭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같은 기간 강남구의 하락률이 19.04%로 가장 컸습니다.
이어 양천구 -18.55%, 송파구 -18.07%, 강동구 -15.47% 순으로 낙폭이 컸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던 강북지역은 침체기에도 상승했습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중랑구(10.27%), 서대문구(3.31%), 동대문구(2.86%), 은평구(2.67%) 등은 올랐습니다.
경기도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상대적으로 입지 여건이 우수한 서울 인접 지역들이 가격 하락 흐름을 주도했습니다.
용인(-26.2%), 과천(-24.8%), 성남(-24.7%), 김포(-22.2%), 고양(-22.2%), 파주(-21.7%) 순입니다.
외곽에 있는 포천(27.7%), 안성(25.1%), 평택(20.3%) 등은 오히려 급등했습니다.
인천도 '인천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연수구는 17.4% 하락했지만, 동구(10.8%), 계양구(8.2%)는 올랐습니다.
과거 침체기의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투자 수요가 많이 유입된 지역의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실수요가 아니라 풍부한 유동성이나 저금리, 희소성 등을 이유로 급등했던 지역은 가격 방어력이 떨어지는 겁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자산을 한 곳에 집중하는 전략은 높은 위험성을 동반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