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은 국내 보건산업 육성방안에 대해 박승원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박 기자, 정부가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등 국내 보건산업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지 최종 로드맵을 발표했는데요. 결국, 국내 보건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데 초점이 맞춰 있는거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어제 경제관계장관 회의가 열렸는데요.
이 자리에서 정부는 보건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내용의 종합발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장 파급력있는 혁신성장 분야 중 하나가 보건산업인데요.
실제 지난해 1조9천억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보건산업시장 규모는 오는 2021년 2조4천억달러로 급증할 전망입니다.
세계적인 경제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5% 이상 성장하는 분야인 만큼, 정부 역시 보건산업을 미래형 신성장으로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가장 관심이 큰 부분이 바로 국내 보건산업에 대한 정부의 비전일텐데요. 정부의 비전은 정확히 무엇인가요?
<기자>
네. 이번 보건산업 종합발전계획의 비전은 한 마디로 '일자리와 수출'입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보건산업에서의 신규 일자리 10만개 창출, 수출 100억달러 추가 달성이란 목표를 내세웠는데요.
현장의 목소리를 충실히 담은 만큼, 이번 수립된 계획이 추진되면 보건산업은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형 신산업으로 도약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일자리와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제 분야별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죠. 제약산업과 관련해선 어떤 계획들이 나왔나요?
<기자>
네. 정부는 '국민에게 건강과 일자리를 드리는 제약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내세웠는데요.
이런 비전 아래 신약 개발 연구개발(R&D) 강화,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 지원, 수출 지원 강화,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에 범부처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약 개발 역량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기준 1조7천억원 수준이었던 제약분야의 민·관 R&D 투자금액을 오는 2022년까지 2배 규모인 3조5천억원 수준으로 확대시킨다는 방침입니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3개에 불과했던 글로벌 신약 성과를 오는 2025년 23개로 늘린다는 목표입니다.
또, 공익 목적의 R&D 투자를 강화해 국내 백신 자급률을 지난해 46%에서 2020년 70%로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여기에 국내 제약사들의 유럽시장 공략을 위해 유럽연합과 우수의약품품질기준 즉, GMP의 상호 인정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런 육성 방안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대거 늘린다는 목표도 세웠는데요.
정부는 지난해 9만5천명이었던 제약산업 종사자가 오는 2022년까지 14만명으로 늘어나고, 2025년엔 17만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앵커>
제약 외에 의료기기와 화장품산업에 대한 육성방안엔 어떤 것들이 담겨있나요?
<기자>
정부는 의료기기 분야에서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최초 제품 30개를 출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등 신개발 의료기기의 건강보험 급여를 추진하고, 연구개발 투자비율이 높은 기업을 혁신형 의료기업으로 지정하는 제도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기수출액을 지난해 29억달러에서 2022년 43억달러로, 일자리는 4만3천명에서 6만6천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화장품에서는 2022년까지 세계 3대 수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장기적인 화장품산업 육성을 위해 화장품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각종 수출정보와 인허가 등을 다루는 종합상담센터도 개설하며 체계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중국에 집중된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해외 현지에 수출거점을 늘리고 인허가 단계와 기간을 축소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는데요.
이런 방안들을 통해 지난해 41억달러 수준이었던 화장품 수출액을 2022년까지 119억달러로 3배 가량 확대하고, 화장품산업 일자리도 같은 기간 3만2천명에서 6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지금까지 살펴본 정부의 보건산업 종합발전계획을 보면 긍정적으로 보여지는데요. 그런데 이번 정부의 육성 방안에 대해 아쉽다는 말도 나온다구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부의 이번 보건산업 육성 의지에 대해 업계는 대체로 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현장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 안 된 부분에 대해선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서 그동안 제약업계에서 줄기차게 요구해 온 기술수출과 해외 임상시험에 대한 세제 혜택이 이번 육성방안에 포함되지 않았는데요.
때문에 이번 정부의 보건산업 육성 로드맵이 반쪽짜리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정부가 보건산업 육성을 위해 여러 가지 지원책을 내놨지만, 업계의 입장에선 부족한 면이 있어 보이네요. 실제 추진되는 과정에서 업계가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들이 보완돼야 할 것 같네요. 박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