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정규직 전환 '가속도'···'과속' 우려도

입력 2017-06-26 18:14


<앵커>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 제로화 시대'를 선언하자 금융권 전반에서 정규직 전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전환이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박해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비정규직 제로화'를 선언하면서 금융권 전반으로 정규직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가장 발빠르게 움직인 곳은 은행권.

기업은행은 무기계약직인 창구 담당 직원 3천여명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씨티은행도 창구 및 일반 사무 전담직원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NH농협은행도 비정규직 500여명을 대상으로, 신한은행은 기간제 사무직 근로자 70여명을 대상으로 정규직 전환을 검토 중입니다.

이미 선제적으로 정규직 전환을 완료한 일부 은행은 아직 구체적 계획을 내놓진 않았지만, 이런 흐름에 따라 비정규직 감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대적으로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제2금융권도 정규직 전환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NH농협생·손보는 3년차 이상의 전문계약직 대부분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올해 비정규직 비율을 20%대로 줄인다는 방침입니다.

전체 직원 4명 중 1명이 비정규직에 달하는 등 업계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OK저축은행은 올해 안에 비정규직의 30%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렇듯 금융권 전반으로 고용 안정성이 강화되고 있긴 하지만, 일각에선 업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 정규직화가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인터뷰>보험업계 관계자

“자유로운 활동 형태에 제약이 따를 수도 있어서 일부 설계사들은 선호하지 않는 분들도 있습니다. 보험사 입장에선 비용 증가 문제 때문에 설계사 채용이 감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정계 압박에 따른 무리한 정규직 전환은 향후 기업의 신규 채용 여력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옵니다.

획일적인 정규직 전환보다 각 업권에 맞는 유연한 고용 형태 보장 등 현실성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해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