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으로 변신...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 확대

입력 2017-05-10 17:49
<앵커>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급격하게 증가해 5000개를 넘어서면서 가맹본부의 '갑질' 논란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최근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정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태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08년 신촌의 노점에서 시작해 현재 전국 50여개 체인점을 가진 디저트 카페 '와플대학'.

가맹본부가 제시한 영업이익 기준액을 초과 달성하면 해당 금액을 돌려주는 등

가맹점과 이익을 서로 나눌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최근 중소기업청에서 진행하는 '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 사업'에 지원했습니다.

[인터뷰] 강보미 와플대학 대표

"우여곡절이 되게 많았어요 전문가들은 아니다 보니까. 좋은 마음 가지고 이렇게 사업을 하려고 했었던 마음에 적합한 시스템과 좋은 전략이 입혀지면 좋겠다 기관과 전문가분들 우리가 모여서 좋은 것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일 것 같아서 지원을 했습니다."

'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 사업'은 중기청이 올해 초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가맹본부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고 전문가 컨설팅을 제공해 상생 시스템을 만드는 정책입니다.

중기청은 지금까지 6개 사업자를 선정했고 다음 달까지 5개 업체를 추가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유환철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지원과장

"가맹본부하고 가맹점이 협업을 통해서 발생한 이익을 미리 계약서에 이익 공유 계약 항목으로 담아서 나중에 성공시에 그 이익을 가맹본부가 독식하는 것이 아니라 가맹점주와 나누는 그런 파트너십 형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부가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상생에 적극 개입하는 것은 가맹본부의 이른바 '갑질'이 줄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가 5천여 개를 넘었고, 가맹점 수도 22만 개에 육박할 정도로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그 과실을 가맹본부만 가져간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가맹본부가 가맹점주들에게 공개하는 정보를 제한하는 등 프랜차이즈 사업 관련 불공정 거래 신고 건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 역시 지방자치단체의 공조 체제를 구축해 가맹본부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감독을 강화한다는 방침.

새정부 출범과 함께 중소기업청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위상 강화가 기대되는 상황에서 상생의 프랜차이즈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태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