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도 넘은 사드 보복, 평창올림픽까지 영향줄까

입력 2017-03-06 15:20


중국의 사드 보복이 거세지면서 내년으로 예정된 평창올림픽까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늘(6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해외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해외문화홍보원을 통한 홍보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오는 7일 올림픽 주관방송사인 미국 NBC를 통해 '2018 평창'의 이모저모를 소개하는 방송을 내보내고, 세계 각국에 있는 재외 한국문화원을 통해 다양한 홍보전시회를 진행키로 했습니다.

또 조직위원회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해외기관 누리집에 '2018 평창'의 배너를 내보내고 SNS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온라인 홍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중국이 최근 사드 보복성 조치로 한국 여행 금지령을 내리면서, 문체부의 이 같은 전략들이 제대로 된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지난해 강원도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273만명 중 중국인은 90만명으로 33%에 달합니다.

강원도의 올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는 전년보다 증가한 300만명이지만, 중국의 한국 여행 금지령으로 오히려 그 수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실제 중국은 지난 주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에 대한 압박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랴오닝 성 둥강시와 단둥시, 저장 성 항저우 등에 자리한 15곳의 롯데마트가 소방시설 부적합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습니다.

아울러 중국 여행사이트에서 한국여행 상품이 삭제되고, 대형매장인 '다룬파'에서는 롯데 상품이 철거되는 등 도를 넘어선 중국의 보복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문체부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중동·동남아시아 등 시장의 다변화, 개별관광객 유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문체부 관계자는 "현재 상황이 좋지 않아 중국 본토에 직접적인 홍보는 하지 못 하고 있지만 홍콩과 대만 등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전 지역에 평창올림픽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며 "중국의 태도가 바뀔 수 있을 지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