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사드압박] 中 소비자의날 앞두고 국내 기업들 '전전긍긍'

입력 2017-03-02 18:38


<앵커>

자세한 이야기 취재기자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산업팀 장슬기 기자 나와있습니다.

장 기자, 중국의 소비자의 날을 앞두고 국내 기업이 긴장하고 있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기자>

중국은 매년 3월 15일을 소비자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중국은 매년 이날에는 관영매체인 CCTV를 통해 자국에 진출해 있는 기업들 중 문제기업을 골라 고발하는 생방송 프로그램을 두 시간동안 내보냅니다.

'3.15 완후이(晩會)'라는 프로그램인데요. 이 프로그램은 소비자단체뿐만 아니라 검역이나 위생, 검찰과 법원 등 주요 국가기관까지 공동으로 기획한다는 점에서 그 위력이 대단합니다.

타깃 기업은 대부분 중국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인데요. 작년에는 태국과 독일, 미국 브랜드의 아동용품에서 유해성 물질이 나와 품질에 대한 지적을 받았었고, 지난 2015년에는 닛산과 벤츠 등 수입차의 수리비 과다 청구와 차량 결함 등이 집중조명됐습니다.

지난 2012년에는 중국 소비자들을 차별한다며 애플을 타깃으로 삼은 적이 있는데요. 당시 애플의 CEO가 직접 나서서 사과를 하는 사태까지 발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난 2011년 금호타이어가 타깃이 돼 품질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는데요. 결국 대량 리콜사태를 맞기도 했습니다.

<앵커>

최근에는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까지 결정한 이후 중국의 반한 감정이 더 거세지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이번 소비자의날 타깃이 국내 기업이 될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볼 수 있겠네요.

<기자>

네. 이미 국내 화장품과 식품 등이 중국 검역을 통과하지 못한 사례도 있었고요. 특히 롯데그룹의 경우 중국 현지 계열사들이 소방점검이나 세무조사 등을 대대적으로 받은 적도 있습니다. 국방부가 지난 28일부터 사드 배치 작업을 시작한 이후에는 중국 언론들이 한국에 대한 경고성 압박을 퍼붇고 있습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 피해가 우려되는 부분을 짚어주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지만, 외교적인 부분이 고발 기업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에서 국내 기업이 자유로울 수만은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 방송에서 기업을 고발하는 강도가 생각보다 세, 매출 타격은 물론 기업 이미지 손상까지 어마어마합니다. 특히 국내에는 중국에 진출해 있는 기업들이 많아 우려가 더 큰 상황인데요. 정경준 기자가 국내 기업들의 중국 사업 현황 등을 살펴봤습니다.

<앵커>

만약 국내 기업들이 타깃이 된다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기업 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는 방안들은 없을까요?

<기자>

사실 이번 소비자의날에 가장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되는 부분이 사드 배치인데요. 사드 배치는 국가적으로, 정부가 결정하는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 이를 직접적으로 돌파할 수 있는 방안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롯데의 경우에도 중국 측을 염두해서 '기업의 자체적인 결정이 아닌 국가적 사안'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는 정부 차원에서 외교로 이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게 가장 최선인 만큼 기업 입장에서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정도의 대응만 취해지고 있습니다.

<앵커>

일각에서는 중국의 최근 움직임이 단순히 '겁주기용'일뿐, 실제 타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어요.

<기자>

네. 중국발 압박이 거세지고는 있지만 우리와의 교류를 통해 중국도 고용 창출 등의 효과를 상당 부분 보고 있거든요.

경제측면에서 봤을 때 한국과 중국이 시너지를 내고 있는 부분도 상당하기 때문에 중국이 표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압박들이 실제로 이어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번 사드 배치로 중국이 당장 현지에 있는 국내 기업들을 퇴출한다던가, 사업제휴를 바로 끊는 등의 결정은 사실상 힘들 것이란 의견도 나옵니다.

또 하나는 현재 우리 정국이, 정권 교체를 앞둔 시점이란 것인데요. 이 때문에 중국이 새 정권을 앞두고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사드 등의 이슈를 미끼로 '액션을 과도하게 취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하지만 중국이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거든요. 우리 기업들이 불합리한 피해를 더 보지 않도록 자체적인 대응책 마련, 혹은 외교적인 해결책을 내놓는 것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앵커>

장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