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결정 논란이 이틀 연속 주요 키워드로 등극했다.
사드 배치 결정 논란이 핫이슈인 까닭은 한미 양국이 지난 8일 미국 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주한미군 배치를 공식 결정하면서 대한민국이 사드 논란의 격랑에 빠지고 말았기 때문.
실제 이번 전격 배치 발표에 대해 중국은 주중 한국· 미국 대사를 거의 동시에 긴급 초치해 항의했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한미의 이번 결정에 대해 공식적인 불만을 제기했느냐"는 질문에 "중국은 관련국가 대사들에 대해 엄정한 교섭(우려)을 제기했다"고 대답했다. 그는 이어진 관련 보충질문에는 '초치'(召見)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오전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를 발표 직후 한국, 미국 대사관 측에 대사 초치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사 등은 오후 3시(현지시간)께 중국 외교부에 들어가 중국 당국자와 1시간가량 면담하며 한미 당국의 원칙적 입장을 재차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이 이번 면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강하게 반발하면서 즉각적인 사드 배치 중단을 요구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월에도 한미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군사적 대응조치로 사드 배치 논의에 공식적으로 착수한 데 대해 김 대사를 긴급초치해 항의를 전달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이번 '외교부 성명' 발표와 대사 초치를 시작으로 외교채널을 총동원해 사드 배치에 대응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서울발 영문기사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과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을 의심하는 한국 내 일부 여론 등을 소개하며 한미의 이번 결정이 지역긴장 등과 관련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관련 분석기사에서 사드의 핵심장비인 X-밴드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2천㎞인 전방전개 요격용 레이더(FBR)와 탐지거리가 600여㎞의 종말단계 요격용(TBR) 레이더 등 두 가지 모드로 운용되며 두 모드 사이에는 언제든 전환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한미는 비록 사드가 북한의 탄도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언제든 중국 내 전략미사일의 발사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대중국용 무기로 돌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