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안전진단 D등급 이하를 받은 노후주택 단지들이 서울 시내에만 33곳이나 되는 데요.
이들 단지들은 사업성이 떨어져 재건축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입니다.
계속 방치될 경우 붕괴사고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커 입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고영욱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울 시내 한복판에 위치한 노후 아파트 단지입니다.
지어진 지 42년이나 지났고 안전진단도 D등급을 받아 붕괴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지만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현장을 살펴보니 상황은 더 심각했습니다.
바닥이 가라 앉아 화장실 벽이 무너져 있고 수돗물도 끊긴지 오랩니다.
가스배관은 이미 낡을 대로 낡아 누출사고가 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기자 스탠딩>
"보시는 것처럼 지하층에는 물이 가득 차 있고 균열이 심각해 문짝이 떨어져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곳에 아직도 250여 가구가 하루하루 위태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붕괴위험에 노출된 아파트가 서울 시내에만 33곳에 이릅니다.
당장이라도 아파트를 헐고 재건축을 해야 할 상황이지만 대부분 10년이 넘도록 방치되고 있습니다.
재건축이 계속 미뤄지는 것은 사업성이 떨어져 조합원이나 건설사나 사업 추진에 열의를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강남아파트 조합원
“사업성이 없어서 그렇다. 사업성이 없어서 시공사가 들어왔다 나갔다를 4번이나 반복했다.”
용적률 상향 등 규제 완화를 통해 사업성을 높여야 하는 데, 이게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서울시가 도시계획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용적률을 올리는 데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서울시 관계자
“(용적률은) 규정에 의해서 정하는 것이다. 이것을 (사정에 따라) 봐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사업성이 없어 재건축 추진이 어렵다고 하더라도 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책은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