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마지막 성장엔진, 아프리카를 잡아라

입력 2015-05-27 19:37


21세기 마지막 성장엔진으로 불리는 아프리카를 잡기 위해 한국기업들이 나섰습니다.

전경련은 외교부와 함께 27일 전경련회관에서 주한 아프리카 대사들을 초청해 한-아프리카 Investment 포럼을 개최하고 우리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인프라 수요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참여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높은 경제성장률을 구가하는 아프리카 대륙은 현재 인프라 구축과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개혁에 중점을 두고 있어 비슷한 개발 경험을 가진 한국기업이 최적의 파트너로 판단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구체적인 투자 프로젝트도 소개됐습니다.

특히 아프리카 프로젝트 페어에 참여하기 위해 방한한 가나경제사절단의 경우 2조 5천억원 규모의 신규 인프라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한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발표에 나선 티모시 월래노 나이누 가나 수석 투자 유치 담당관은 “가나 정부는 발전, 철도, 도로, 신규공항, 항구, 제조업 공장 등의 분야에서 약 23억 달러 규모의 신규 건설계획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가나의 외국인 직접 투자 대부분이 제조업에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국 제조업 기업의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이어 튀니지와 시에라리온의 투자 기회에 대해서도 소개됐습니다.

하지만 우리 기업들의 아프리카 진출은 중국, 미국 등 경쟁국에 비해 아직 미미한 수준입니다.

엄치성 전경련 상무는 “중국과 미국의 경우 막대한 자본력과 외교력을 무기로 아프리카 시장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막대한 자본력을 무기로 아프리카 시장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최근 200억 달러 규모의 투자에 합의했으며 2000년부터 정기적으로 3년마다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오바마 대통령이 50여개국의 아프리카 대통령을 백악관에 초청하고 정상회담을 개최해 총 210억 달러의 대 아프리카 투자를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엄 상무는 “한국이 다른 국가에 비해 늦은 감은 있지만,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수출주도형 압축 성장을 달성한 한국을 적극 벤치마킹하고 있다”면서, “한국기업의 아프리카 틈새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정보통신 분야는 한국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우리기업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나이지리아 휴대폰 가입자 수는 약 13년동안 50만명에서 1억 2,400만명으로 248배 증가했습니다.

매년 5월 25일인 ‘아프리카 데이’를 기념해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20개국 주한일 아프리카 대사관과 100개가 넘는 한국 기업에서 참여했으며, 50여건의 아프리카 대사관과 기업간의 1대1 미팅도 이뤄졌습니다.

또한 한국의 전통음악인 ‘아리랑’을 아프리카 음색으로 재현하는 아프리카 음악 공연도 선보이는 등 한국인에게 생소한 아프리카 문화를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