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의 조건] ① "창업 지원도 백년대계로"

입력 2015-05-15 16:58
<앵커>

정부가 청년 실업문제 해결방안으로 창업을 제시하면서 관련 지원이 확대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상당수 지원책이 단기에 그쳐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해결해야할 과제를 문성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01년부터 몽골에서 레미콘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M사.

이 회사 대표인 양윤호 씨는 레미콘 2대로 사업을 시작해 현재 몽골 100대 기업에 들어갈 정도로 회사를 성장시켰습니다.

<인터뷰> 양윤호 MKI 대표

“한국사회와 회사에서 장기적인 비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창업하게 됐습니다. 한국에서 검증된 비즈니스 가지고 충분한 시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없는 시장을 창조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청년 실업문제의 해결책으로 창업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정부도 각종 지원책을 쏟아내며 여기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청은 지역별로 28개의 창업선도대학(652억)을 선정하고, 청년창업사관학교(260억)를 운영하는 등 청년 창업가 육성에 나서고 있습니다.

중소기업계도 최근 중소기업주간을 맞아 청년 해외창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소기업들의 제조 노하우를 청년들에게 전수해 해외 시장에 진출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전통제조기반 글로벌 청년창업 멘토링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청년들이 창업가의 꿈을 안고 글로벌 창업의 꿈을 실현하는 길을 중소기업이 열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지원이 대부분 1년에 그치는 등 단기로 운영돼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사업 성과가 빨리 나타나는 분야에 지원이 쏠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창업지원과정 경험자

“성과지표를 단기간에 10개월 안에 제품이 나오고, 매출이 나오고, 이것을 성공의 지표로 보고 평가지표로 보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아이템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해요.”

창업에 실패하더라도 재기를 도울 수 있는 지원도 필요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문성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