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가격제한폭 확대 리스크 관리 '뒷전'

입력 2015-03-17 15:04
<앵커>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는, 이른바 신용융자거래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데요, 오는 6월 시행을 앞둔 상하한가 가격제한폭 확대와 맞물려 시장에 적지 않은 우려감이 일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할 증권업계는 오히려 '뒷짐'만 지고 있는데요, 정경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해 4조원 중반 수준이었던 신용융자거래 규모가 최근 6조1천억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증권사들은 사실상 무위험이나 다름없는 신용융자를 통해 '짭잘한'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오는 6월 시행을 앞둔 가격제한폭 확대와 맞물려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 요인이 더 커졌지만, 일부 증권사들은 여전히 '돈' 장사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대표적으로 반대매매 주식 수량 산정을 위한 비율을 놓고 업계 내 논란이 만만치 않습니다.

신용융자거래의 경우, 주가 하락으로 담보가치가 일정비율 밑으로 떨어지게 되면 돈을 빌려준 증권사는 담보비율을 맞추기 위해 해당 주식을 처분하는, 이른바 반대매매에 나서게 됩니다.

이 때, 반대매매를 위한 해당 주식의 주가는, 전날 종가에 하한가인 15%를 기준으로 책정돼 그 다음날 동시호가 때 처분하게 됩니다.

그러나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현행 반대매매 주식수 산정 기준 비율인 15% 기준으로도 담보비율을 맞추지 못할 경우가 예상되는데, 이럴 경우 재차 반대매매에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고객의 손실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이런 논란이 일자, 금융투자협회는 15~30% 사이에서 증권사가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지만, 논란은 사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대형 증권사의 경우 리스크 관리 측면에 앞서, 소위 고객에게 더 유리한 대출 조건을 내세워 최근 급증하고 있는 신용융자거래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계산인데 반해 중소형 증권사는 이 기준을 따를 경우 리스크 관리에 따른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일정 가이던스가 제시되지 않으면, 고객이탈 우려 등을 감안해 15% 기준으로 정해 질 수 밖에 없다"며 "이럴 경우 자칫 중소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한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우려감이 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경제TV 정경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