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건설시장 내년에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SOC 줄고 주택시장은 회복을 낙관할 수 없습니다.
국내 건설사들 이제는 해외시장을 넓혀야 할 때인데요.
정부와 업계가 해외건설 사업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모였습니다.
먼저 김덕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앵커> 앞서 보신대로 해외 대형 프로젝트에 국내 건설업계가 참여할 수 있도록 다방면의 노력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중동과 아시아 지역에만 치우쳐 있는 시장과 저가 수주 경쟁으로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 해결해야할 과제도 많은데요
해외건설 사업의 돌파구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신용훈 기자 나와 있습니다.
먼저 우리나라의 해외시장 진출 현황부터 살펴주시죠
<기자> 네, 현재 국내 건설사들 올 3분기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448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가 증가했습니다.
상반기에 전년 대비 5% 줄었다가 3분기에 현대중공업 32억 달러짜리 사우디 화력발전소를 수주하고 대우건설이 모로코에서 18억 달러 규모의 민자발전소를 수주하는 등 대형 공사를 따내면서 증가추세로 돌아선 겁니다.
지역별 수주액을 살펴보면 아시아가 192억 달러로 전체 수주액의 43%를 차지했고, 중동지역도 178억 달러로 전체의 40%를 차지했습니다.
이 밖에 북미와 유럽은 13%, 중남미와 아프리카는 1% 안팍의 수주 비중을 보였습니다.
<앵커> 수주 지역을 보니까 여전히 아시아와 중동지역에 많이 몰려 있군요.
<기자> 지역 다변화를 계속하고는 있지만 아직 기대에는 미치치 못하고 있습니다.
북미와 중남미, 아프리카 지역의 수주액은 전체의 20%도 안되는 실정인데요.
특히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아프리카나 중남미 등 대형 기반시설 발주가 예상되는 지역은 지난해보다 수주 비중이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기업들은 중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에 대해 갖고 있는 사전정보가 부족합니다.
때문에 참여실적도 저조하고 인지도도 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앵커> 지역 다변화와 함께 공종 다각화도 절실해 보이는데 어떤가요?
<기자>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플랜트 수주 비중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분기까지 공종별 수주액을 보면 플랜트가 270억 달러로 전체의 60.2%를 차지했고, 토목이 126억 달러로 28.3% 건축이 40억 달러로 9%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건축분야 수주액은 지난해의 3분의 1수준으로 급감한 반면 플랜트는 20% 정도 늘었습니다.
문제는 중동을 제외한, 중남미나 아프리카 등 신흥개발국의 경우는 플랜트 보다는 주택과 인프라 건설발주가 많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입니다.
이들 지역에서 수주를 선점하지 못할 경우 향후 해외건설 시장에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저가 공세와 유럽과 일본의 기술력에 국내 업체들이 밀려나면서 플랜트 시장의 입지도 탄탄하지 만은 않기 때문입니다.
<앵커> 정부차원의 지원도 있지 않습니까?
<기자> 국토교통부는 사우디와 쿠웨이트에 수주지원단을 파견하고 한-이라크 공동위원회 등을 통해서 우리기업의 해외건설 최대시장인 중동지역과의 협력관계를 다진다는 계획입니다.
중국과 태국에는 신도시개발과 물관리 사업 등을 위한 수주지원단을 파견해서 아시아 건설, 인프라 시장도 적극 개척한다는 방침입니다.
이 밖에 중앙아시아와 유럽 등 해외건설 불모지였던 곳에서 현지 포럼등을 통해 교두보를 마련해 나가고, 베네수엘라와 모잠비크 등 중남미 아프리카 주요국가에서도 수주지원을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LH와 도로공사 등 산하 공기업들이 건설사들과 함께 공동진출하는 방식을 적극 모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김동욱 기자의 리포트 보시죠
<앵커> 공기업과 건설사들이 패키지 형태로 해외사업을 수주하겠다는 건데요.
과거에도 이런 형태의 수주는 있지 않습니까.
<기자> 지난 달 SK건설과 한국서부발전이 1조원 규모의 라오스 수력발전소 공사를 수주한 바 있고요.
올 6월에는 수자원공사가 6조원 규모의 태국 물관리 사업의 우선협상자로 선정되면서 대형 프로젝트의 물꼬를 틔웠습니다.
해외 대형 국책사업 위주로 우리나라 공기업들이 참여를 하면서 민간건설사들이 참여하는 형태였는데요.
이제는 처음 수주 단계부터 공동으로 참여하는 일종의 시스템을 만들어 가겠다는 겁니다.
상대국가의 산업정보나 발주처 정도 등을 정부에서 제공을 하면 민간 건설사들이 제공된 정도를 가지고 자신들에게 맞는 지역이나 공종을 선별해서 참여하게 끔 한다는 것입니다.
공기업이 해당 국가의 수주에 뛰어들면 그만큼 신뢰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민간건설사들도 득이 되는 셈입니다.
게다가 그동안 우리나라 건설사들끼리 해외에서 저가 수주경쟁을 벌이면서 손해도 많이 봤는데, 민.관 공동수주 형식을 통해서 이런 문제점도 어느정도 해소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민.관의 협력을 통해서 해외시장을 좀 더 넓혀나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되는데요. 어떤 시너지 효과가 날 지 주목됩니다.
신용훈 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