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가 성공하기 위해선 인문학적 창의가 바탕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김상근 연세대 신학과 교수는 25일 전경련 제주하계포럼 세미나에서 “최근들어 인문학이 경영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창조경제의 길이 그 속에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르네상스 시대 파리는 신학, 볼로냐는 법학, 살레르노는 의학이 유명했지만 상업도시인 피렌체엔 그런 것이 없었지만 피렌체에서 탄생한 신흥 상인계급의 학문적 수요가 크게 일면서 인문학이 태동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인문학적 바탕 위에서 ‘메디치가’라는 대기업이 탄생할 수 있었고, 이들은 미켈란젤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마키아벨리 같은 소수 창조인을 후원할 수 있었으며 바로 여기에 창조경제의 힌트가 숨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대해 조신 연세대 미래융합기술연구원장은 “모든 것들이 스마트해지는 멋진 신세계, 즉 초연결사회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현재의 사물인터넷(IoEㆍInternet of Everything)에 인간의 가치(사람)가 접목되는 초연결사회가 돼야 좀더 스마트한 경제, 창조경제가 답보된다는 설명입니다.
조 원장은 “ICT 융합 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인문학과의 결합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스티브 잡스가 융합의 아이콘이라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융합의 시조인데, 이들이 창조한 인문학적 가치가 새 시대를 이끈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