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저축은행, 부실채권 비율 15% 넘었다

입력 2024-07-08 17:44
수정 2024-07-09 00:49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신협 등 상호금융도 지방을 중심으로 건전성과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덩치가 작은 지방 2금융사들이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둔화에 따른 직격탄을 먼저 맞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8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3%(산술 평균 기준)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은 석 달 이상 연체된 대출로, 금융사 여신 가운데 회수가 불투명한 채권을 의미한다. 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다.

권역별 부실채권 비율을 보면 서울(10.4%)과 인천·경기(13%), 호남(11.3%) 지역 저축은행이 평균 이하였다. 부실채권 비율이 평균을 웃돈 권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곳은 부산·경남이었다. 부산·경남 지역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15.3%로, 2년 전(4.8%)보다 10.5%포인트 치솟았다. 대구·경북·강원은 같은 기간 5.4%포인트 오른 14.9%로 나타났다. 충청은 10.4%포인트 뛴 13.3%였다.

권역별 당기순이익은 서울(123억원)과 호남(27억원)만 흑자였고, 나머지는 적자였다. 인천·경기(-927억원)의 적자 규모가 가장 컸다. 경기에 있는 저축은행은 19개로, 서울(23개)에 이어 가장 많다. 충청은 저축은행이 7개에 불과한데, 적자 규모는 312억원에 달했다. 12개 저축은행이 있는 부산·경남은 373억원 적자였고, 11개 저축은행이 있는 대구·경북·강원은 56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상호금융 역시 지방이 ‘약한 고리’로 떠올랐다. 지난해 말 기준 부실채권 비율이 20%를 넘은 새마을금고는 4개였다. 이 가운데 3개가 비수도권 금고다. 예컨대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24.78%인 A금고는 부산에 있다. 이 금고는 기업대출 비중이 82.4%에 달했다. 기업대출로 잡히는 관리형 토지신탁, 공동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을 많이 취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경영개선권고를 받은 123개 개별 금고 중 지방에 있는 금고는 53개(43.1%)였다.

신협 역시 지방부터 ‘경고등’이 켜진 상태다. 부실채권 비율이 10% 이상인 개별 신협 29개 가운데 지방에 있는 신협은 18개(62.1%)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 부동산을 중심으로 경기가 식으면서 해당 지역 2금융권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조미현/서형교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