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배달앱의 무한 경쟁에 뒤처진 경기도의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별 입점업체가 2년 새 4분의 1로 줄고 월간 방문자도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졌다.
3일 국민의힘 소속 이채영 경기도의원(비례대표)에 따르면 경기도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2022년 1월 55만4431명에서 지난 2월 26만3910명으로 반토막 났다. 2년 전 100억원대였던 월평균 거래액도 올해 54억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2022년 2월 한 달 동안 1660개에 달했던 신규 입점업체는 올해 2월 422개로 4분의 1 수준까지 떨어졌다.
경기도는 2020년부터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을 운영하고 있다. 민선 7기 이재명 경기지사 시절 민간 배달앱의 독과점 구조를 깨겠다는 ‘1% 중개수수료’ 정책으로 자영업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역화폐와 연동한다는 차별점을 내세워 서비스 이용자인 당시 도민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민간 배달업체와의 경쟁에 밀리면서 ‘애물단지 사업’이 될 위기에 처했다. 배달의민족 등 주요 배달앱이 ‘무료 배달비’ 정책을 앞세울 때 배달특급은 오히려 ㎞당 100~200원을 부과하는 방식의 ‘배달 팁 추가’ 제도를 도입하면서 비용이 올랐다. 시스템 업데이트가 미비해 배달 불가 지역도 계속 늘고 있다. 지난달 배달특급을 이용한 A씨는 “거리당 배달비 추가 정책이 시작된 후 배달비가 올랐고, 지역화폐 이용 규모가 줄어 혜택이 하나도 없다”고 했다.
앱 설치 페이지의 올해 사용 후기를 보면 “지역화폐 이용이 불가한데 왜 조처를 하지 않느냐” “오래 사용할수록 단점이 드러나는 앱” 등의 비판성 글이 적지 않다. 메뉴 수정부터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한 배달 팁·시스템 오류 손실 보상 요구까지 가맹점주 민원도 끊이지 않는다.
도는 거래 규모가 급감하는 현실도 외면한 채 수십억원의 세금을 투입하고 있다. 2022년 1310억475만원이던 누적 거래액은 지난해 950억9173만원으로 27.5% 감소했다. 올 2월까지의 누적 거래액은 108억8855만원에 그쳤다. 1% 수준의 중개수수료로 거두는 수익은 10억원 남짓으로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다.
그럼에도 도 산하 공공기관인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에서 매년 70억~80억원의 도비를 들여 운영하고 있다. 홍보 비용만 2022년 26억7400만원, 2023년 21억7900만원이 들어갔다.
이 의원은 “치적 쌓기용으로 만들어져 매년 60억원씩 적자가 발생하는 공공 배달앱 사업을 멈출 때”라고 지적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