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피해자 3명 중 1명 "피해 알려도 해결 안 돼" [1분뉴스]

입력 2023-03-04 09:00


학교폭력(학폭) 피해를 본 학생 3명 중 1명은 '피해 사실을 부모님이나 학교, 상담 기관 등에 알려도 해결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3일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해 전북을 제외한 16개 시·도 교육청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언어폭력을 당한 사실을 주변에 알리거나 신고한 학생(3만9396명) 중 35.3%(1만3889명)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해결됐다(41.1%)는 응답 비율보다는 낮았지만, 여전히 1만명 이상의 학생은 피해 사실을 알려도 언어폭력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언어폭력 외에도 금품갈취(33.0%), 성폭력(32.8%), 스토킹(32.6%), 사이버폭력(31.6%), 집단따돌림(29.4%), 신체 폭력(28.9%), 강요(27.2%) 등 다른 학폭 유형에서도 피해 사실을 알려도 3건 중 1건꼴로 해결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에선 언어폭력(36.5%), 중학교는 성폭력(31.8%), 고등학교는 금품갈취(37.2%)의 미해결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학폭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 중 90.8%는 피해 사실을 알렸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피해 사실을 많이 알리지만(초등학교 89.9%, 중학교 93.0%, 고등학교 95.0%) 실제 도움받은 정도는 고등학교가 가장 낮은 것(초등학생 평균 5점 만점에 3.57점, 중학교는 3.59점, 고등학교는 3.35점)으로 조사됐다.

정순신 변호사가 아들의 학폭 논란으로 국가수사본부장에 임명된 지 하루 만에 사퇴한 것을 계기로, 피해 학생을 보호하는 방안마련 등 실효성 있는 학폭 근절 대책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채영 한경닷컴 기자 ycyc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