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첨단농업·식량안보 중심 조직 개편…동물복지 ‘국’으로 첫 승격

입력 2022-12-06 17:03
수정 2022-12-06 17:04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와 식량안보 강화를 골자로 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한국인의 삶에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반려동물을 중심으로 한 ‘동물복지’ 현안을 챙길 전담국을 신설하는 등 상당폭의 변화를 줬다.

농식품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농림축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고 6일 밝혔다.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식량안보 △농촌공간 개선 및 동물복지 강화 등 세 가지가 이번 조직 개편의 핵심 방향이다.

먼저 1차관보·2실 체계가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기획조정실, 농업혁신정책실, 식량정책실 등 3실 체계가 된다. 차관보에서 전환된 농업혁신정책실은 스마트농업, 청년농업인 육성, 대체식품 발굴 등 농업 혁신과 농촌 정책을 담당한다. 기존 식품산업정책실에서 바뀐 식량정책실은 식량정책(식량안보), 축산, 유통 등 식량의 생산과 유통 등 공급 측면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신설 국으론 동물복지, 농업농촌 탄소중립 전담할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을 신설했다. 지금까지 동물복지 분야는 과단위 조직에서, 농업·농촌 탄소중립 이슈는 팀 단위로 대응해왔다.

기존엔 후임국이었던 농업생명정책관을 농식품혁신정책관으로 개편해 농업혁신실 주무국으로 격상했다. 미래 농업 관련 법률 및 제도 정비, 농업 디지털화, 첨단농기자재 개발 등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에 속도를 낸다는 취지다.

그리고 국정과제 수행 지원 위한 팀 조직으로 자유무역협정팀, 반려산업동물의료팀, 청년농육성정책팀, 그린바이오산업팀, 축산유통팀 등을 운영한다. 장관 자율기구로 가루쌀산업육성 대응반도 설치할 계획이다.

박순연 농식품부 정책기획관은 “이번 조직개편방안은 최근 3개년 과별 업무 추진실적 등 조직진단 결과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추진에 따른 업무증가 요인 등을 고려하여 마련했다‘며 “국정과제를 충실하게 이행하고 미래 농정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과 기능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