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 당시 재난문자 발송이 늦어진 이유를 놓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책임 공방이 일고 있다. 당일 첫 재난문자는 밤 11시56분 서울시가 발송했다. 사건 발생 1시간41분이 지난 뒤였다. 이어 용산구가 재난문자를 발송한 시간은 다음날 0시11분이었다.
10일 정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당일 오후 10시53분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을 통해 서울시와 용산구에 ‘재난문자방송송출(필요시)’이라는 상황전파 메시지를 전달했다. 하지만 서울시와 용산구의 대응은 즉각적이지 못했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재난문자를 신속하게 보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굉장히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재난현장을 가장 정확하게 아는 자치단체가 우선 재난문자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발송 권한을 시·도와 시·군·구에 줘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난문자가 지체됐다는 지적에 서울시와 용산구의 대응이 늦었다고 답한 셈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용산구의 책임이 크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지자체 긴급재난문자 운영 지침’에 따르면 용산구 관내 재난은 용산구에서 문자를 발송하도록 돼 있다. 서울시는 당일 재난문자 송출 주체인 용산구와 수차례 전화 통화를 시도했지만 통화가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오후 11시27분에야 용산구 재난문자 담당자와 전화 연결이 돼 문자 발송을 요청했지만 문자가 발송되지 않아 결국 11시56분에 직접 재난문자를 보냈다고 설명했다.
용산구는 이런 상황과 관련해 “경찰이 수사하고 있는 내용으로 현재로선 설명하기 어렵다”고 했다. 당시 용산구 재난문자 업무를 담당한 직원은 이날 경찰 특별수사본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