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막기 총력전 나선 정부…물가안정 범부처 TF 출범

입력 2022-05-20 10:44
수정 2022-05-20 10:46


정부가 인플레이션 가속화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물가안정 범부처 작업반(TF)을 운영하며 물가 관리 '총력전'에 나섰다. 식용유와 석유류 등 국민 체감 분야의 물가를 밀착 관리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일 서울 수출입은행에서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제1차 경제차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방 차관은 "원유를 포함한 석유류가 3월에 이어 4월에도 30%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방역 완화에 따른 소비회복이 가세하면서 엄중한 물가 여건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민생 부담을 덜어드리는 것이 경제팀의 최우선 당면과제라는 인식에 따라 물가 상승세 억제를 위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 차관은 "밀·비료 (가격 인상) 차액을 지원하고 식품·사료 원료 구매자금을 확대하는 등 추가적인 수급 안정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면서 "국민적 관심이 큰 식용유와 계란, 돼지고기, 석유류 등은 가격과 수급 동향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할 때 적기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물가·부동산 등 주제별로 분산 운영하던 차관급 회의를 '경제관계차관회의'로 통합해 이날 1차 회의를 열었다. 지난 4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지난 13년 6개월만에 최고치인 4.8%를 기록하는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첫 회의의 의제를 물가로 정했다.

경제관계차관회는 정부 내 핵심 현안을 실무적으로 조율하고 발표된 주요 정책의 이행 점검·보완을 하는 회의체로 운영될 계획이다. 기재부 1차관 주재로 과기정통부·행안부?문체부?농식품부?산업부?복지부?환경부?고용부?국토부?해수부?중기부?국조실?공정위?금융위 차관, 통계청 차장 등 16명으로 구성된다.

신설되는 물가안정 범부처 작업반(TF)은 부처별 소관분야의 물가안정화를 위한 단기 핵심과제들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는다. 방 차관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공급망 관리와 유통 고도화, 경쟁 촉진 등 시장의 구조적 개선과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역할도 할 예정"이라며 "지금의 물가여건 하에선 부처간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