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오차범위가 뭐지?

입력 2022-02-28 17:23
수정 2022-03-01 00:10
‘여론조사 투영효과’라는 용어가 있다. 유권자가 여론조사 지지율을 실제 선거 결과와 등치시켜 보려는 것을 뜻한다. 이 때문에 지지 후보가 없는 유권자는 사표(死票) 방지를 위해 지지율이 높은 후보로 마음을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후보들이 ‘밴드왜건(지지율이 높은 후보에게 쏠리는 현상)’ 흐름을 타려고 온갖 대책을 짜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유권자가 여론조사에서 유의해서 봐야 할 게 한둘이 아니다. 우선 ‘오차범위’다. 표본오차가 ‘신뢰수준 95%에 ±3.5%포인트’라고 가정하자. 이는 여론조사를 100번 하면 95번은 표본오차 범위(7%포인트) 내에서 결과가 나온다는 의미다. A후보가 40%, B후보가 37% 지지율을 얻었을 때 같은 방법으로 100번 조사하면 95번은 A후보가 40±3.5%(36.5~43.5%)를, B후보는 37±3.5%(33.5~40.5%)를 얻을 것이라는 뜻이다. 오차범위 내에선 누가 우위를 보인다고 단정할 수 없다.

선거철마다 들쭉날쭉한 여론조사로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된 지도 오래다. 그 이유로는 응답률이 낮은 점을 꼽을 수 있다. 응답률이 최소 10% 이상은 돼야 신뢰할 수 있다. 그러나 비용 문제로 조사원이 직접 묻는 전화면접보다 자동응답(ARS) 방식을 많이 활용하다 보니 응답률이 5%에도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

질문 문구도 중요하다. 지난해 한 여론조사 업체가 특정 대선 후보를 강조하는 식의 질문을 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 보수층은 자기 생각을 드러내기를 꺼려 전화면접보다 ARS 방식을 선호한다는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응답자가 대부분 1000명 정도밖에 안 된다는 점도 문제다. 이를 17개 광역시·도로 나누면 한 곳당 평균 59명에 불과하다. 조사 시점이 평일이냐 주말이냐, 낮이냐 밤이냐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 그런 만큼 여론조사를 맹신하기보다 풍향계 정도로 삼는 게 바람직하다.

오는 3일부터 실시되는 대선 여론조사는 공표가 금지된다. 누가 나라를 위해 제대로 일할 수 있는지 공약집이라도 한 번 펼쳐보자.

홍영식 논설위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