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KAIST와 '인공광합성' 연구 손잡았다

입력 2022-02-24 18:12
수정 2022-02-24 23:59

하나금융그룹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을 대표하는 연구대학인 KAIST와 손잡았다. 하나금융은 KAIST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미래전략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발표했다.

하나금융과 KAIST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 △저탄소 에너지 경제 전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금융회사와 대학이 ESG 분야에서 손잡은 드문 사례다.

하나금융은 KAIST와 함께 ESG 경영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정립하고, ESG 관련 신기술을 개발하는 데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KAIST에 ESG 경영 실천을 위한 학술활동 비용 100억원과 인공광합성 연구소 설립자금 100억원 등 총 2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탄소중립을 앞당기기 위한 CCUS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CCUS란 기존에 배출된 탄소를 줄이기 위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땅속 또는 해저에 저장하거나 화학 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전반을 일컫는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지난 23일 열린 협약식에서 “이번 협약은 탄소중립을 위한 미래기술 상용화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