⑥캐피털, 도마 위에 오른 펀더멘털[2022년 산업별 신용 전망]

입력 2022-01-07 05:57
수정 2022-01-10 09:28
이 기사는 01월 07일 05:57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캐피털사들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금리가 인상 국면에 들어선 데다 가계부채 규제 강화로 사업 불확실성이 확대돼서다. 그간 과잉 유동성에 가려진 그늘이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올해 캐피털 산업의 사업 환경이 비우호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적 방향성도 부정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지난해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올해도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캐피털사 입장에선 조달금리가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하지만 조달금리 상승분을 운용금리에 전가하긴 쉽지 않다. 결국 이자마진 축소 압박으로 수익성이 나빠지게 되는 구조다.

김영훈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계열의 지원이 어려운 신용등급 하위 캐피털사들은 조달만기가 더욱 단기화 될 것"이라며 "자금조달 축소로 디레버리징(부채축소)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캐피털사들은 기업·투자금융 확대를 통해 수익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자동차금융과 리스·내구재 할부 시장의 성장 동력이 약해지다 보니 기업·투자금융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이다. 조달 경쟁력이 있는 은행·카드사들이 앞다퉈 자동차금융 시장에 진출하고 있어 이같은 기업·투자금융 쏠림 현상은 심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투자금융은 특성상 이익 변동성이 커 캐피털사의 전체 포트폴리오 위험을 키우고 있다.



규제 변화도 중요한 변수다. 올해부터 캐피털사의 레버리지(총자산/자기자본) 한도가 9배로 축소된다. 재무안정성엔 긍정적인 요인이지만 영업기반이 흔들릴 우려가 있다. 아울러 정부의 만기 연장, 상환 유예 관련 규제 유연화 방안도 지켜봐야 한다. 실제 종료 시기와 연착륙 수준에 따라 캐피털사들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 시점은 오는 3월 말로 예정돼 있다. 캐피털사들의 여신 포트폴리오를 보면 중소기업·개인사업자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크다. 코로나19 피해차주 지원 조치 종료 시점에 캐피털사들의 건전성 지표가 악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윤희경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가계부채 체질 개선으로 장기적으로는 자산건전성에 긍정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신규 자산 편입 효과 감소와 차주의 대출 상환 부담 증가로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증시 약세로 신기술 금융·유가증권 투자 부문의 수익성 저하가 예상되고, 부동산 경기 둔화로 부동산 관련 대출의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적 변동성이 큰 일부 캐피털사를 중심으로 신용등급 하향 조정도 이어질 전망이다. 동영호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등록제로 시장 진입 장벽이 낮아 경쟁 강도가 거세지고 있어 올해 캐피털 산업의 위험 수준이 높다"며 "금리 상승 기조에서 조달비용의 전가능력 차이로 인해 캐피털사별로 수익성·연체율이 차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