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 시장서 '대형주'보다 빛난 '중소형주'

입력 2021-08-16 05:50
수정 2021-08-17 09:36


'7말8초' 기업공개(IPO) 슈퍼위크가 막을 내렸다. 카카오뱅크, 크래프톤, 롯데렌탈 등 대형 공모주의 등장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대형 공모주보다 '알짜' 중소형주에 수조원의 자금이 쏠렸다. '대어'가 주도했던 공모주 시장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어보다 인기 끈 중소형주

지난 2~3일 일반 청약을 진행한 크래프톤의 경쟁률은 7.79대 1, 청약 증거금은 5조358억원이었다. 지난달 청약한 카카오뱅크(58조원), HK이노엔(29조원), SD바이오센서(31조9000억원)은 물론 상반기 상장한 SK아이이테크놀로지(80조9000억원), SK바이오사이언스(63조6200억원) 등과 비교하면 저조한 수준이다. 기관이 참여한 수요예측 경쟁률도 243 대 1에 그쳤다.

반면 같은 날 청약을 진행한 중소형 공모주인 원티드랩은 청약경쟁률이 1731 대 1을 넘었다. 64억원 모집에 증거금만 5조5000억원이 몰렸다. 원티드랩은 앞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도 15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기업들도, 개인들도 시가총액 24조원의 '대어' 크래프톤(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24조3512억원) 대신 원티드랩을 선택한 것이다.

지난 9~10일 일반 청약을 진행한 롯데렌탈, 아주스틸, 브레인즈컴퍼니 등의 청약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롯데렌탈은 국내 렌터카 업계 1위에 롯데 그룹 계열사, 시가총액 2조원 규모의 대형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통합경쟁률은 65.81 대 1에 그치며 증거금 8조4001억원을 모았다. 반면 아주스틸은 1419.73대 1을 기록해 증거금으로 22조3089억원을 모았다. 브레인즈컴퍼니는 경쟁률 1190.39 대 1을 기록했다.

투자 수익률도 대형주보다 높아

상장 후 수익률도 중소형주가 월등히 높았다. 지난달 27일 상장한 증강현실(AR) 플랫폼기업 맥스트는 '따상상상'(공모가의 두 배에 시초가가 형성된 후 사흘 동안 상한가)을 기록했다. 이 기업은 기술 특례방식으로 상장한 적자기업이다. 지난해 매출액 19억8300만원, 영업손실 25억1500만원 당기순손실 89억2100만원이었다. 적자 기업임에도 주가가 연일 상승했던 것은 '메타버스'(가상세계) 수혜주로 주목받은 덕분이다.

채용 플랫폼 원티드랩과 디지털 플랫폼 업체 플래티어도 상장 첫 날 '따상'에 성공했다. 크래프톤이 상장 후 이틀만에 주가가 공모가 대비 18%나 하락한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플래티어는 일반 청약에서 2598.8대 1의 경쟁률로 역대 6위. 49억원 모집에 증거금은 6조1846억원이 들어왔다. 증거금과 청약 경쟁률 모두 크래프톤보다 높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대형주라고해서 IPO에 무조건 성공하는 시기는 지났다"며 "적자여도 사업 경쟁력이 높거나 성장 잠재력이 큰 중소기업들이 공모주 시장에서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모주 슈퍼위크는 끝났지만 올해 남은 공모주들은 아직 많다.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을 기업은 어디일지 지켜보는 재미가 쏠쏠할 것 같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