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8월04일(14: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은행별 실적 차별화가 두드러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유동성과 정책 효과에 가려졌던 잠재부실의 민 낯이 드러날 것이란 판단에서다.
한국신용평가는 4일 코로나19 장기화 속 은행들의 경영 실적과 디지털 금융 대응 방안을 점검하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은행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 타격과 달리 우수한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 금융규제 유연화 방안 시행에 따라 원금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이뤄진 영향이다. 풍부한 유동성 공급 효과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축소되면 유동성 회수 기조로 전환되고, 금융당국의 단계적인 금융규제 정상화 방안이 추진되면서 잠재부실이 늘어날 수 있다. 은행별로 코로나19 민감도와 부실흡수능력이 달라 실적이 차별화할 것이라는 게 한국신용평가의 판단이다.
저금리·저성장 등 비우호적인 영업 환경에도 대다수 은행은 기존 담보대출 위주의 보수적인 대출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금융그룹 차원에서 은행은 보수적인 영업 전략을, 증권·캐피털사는 위험 자산에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디지털 금융 대응 전략은 4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본력이 우수한 시중은행은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에 배달 서비스처럼 생활 편의 서비스를 탑재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자체 플랫폼을 강화하는 동시에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비해 자본력이 뒤처지는 지방은행은 독자적인 플랫폼 개발 보다는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핀테크(금융기술) 업체와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김정훈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이해관계가 다른 영향"이라며 "디지털 금융 발전으로 인한 금융산업 재편 과정에서 은행별 대응 전략은 향후 신용도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