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있는 아침] AI가 되살린 렘브란트 '야경'

입력 2021-06-28 17:41
수정 2021-06-29 03:37
렘브란트(1606~1669)의 ‘야경’은 작품성만큼이나 그림에 얽힌 기구한 사연으로 유명하다. 1642년 완성된 이 그림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민병대가 허둥지둥 출동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주문을 받아 그린 단체 초상화인데도 렘브란트는 얼굴을 묘사하는 데 집중하지 않고 빛과 그림자의 대비 효과를 강조하는 등 혁신적인 기법으로 작품의 조형적 효과를 살리는 데만 몰두했다. 의뢰인들은 거세게 항의했고, 이 작품 이후 렘브란트는 초상화가로서 쇠퇴의 길로 접어들어 말년엔 파산까지 맞았다.

그림도 변천을 거듭했다. 원래 제목은 ‘프란스 반닝 코크 대장의 민방위대’로 낮 풍경을 그린 그림이지만, 보관 과정에서 빛이 바래면서 지금의 이름이 붙게 됐다. 작품 일부가 잘려나가기도 했다. 1715년 암스테르담 시청에 걸릴 당시 크기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왼쪽 60㎝, 오른쪽 7㎝, 윗부분 22㎝, 아랫부분 12㎝가 잘렸다.

지난 23일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이 작품의 손실된 부분을 300여 년 만에 복원해 전시하면서 작품은 또다시 모습을 바꿨다. 그림의 남아 있는 부분과 절단 이전 제작된 모작을 비교해 손실된 부분을 인공지능(AI)으로 다시 그려냈다는 설명이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