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 인베스코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증세와 관련, "역사적으로 미국 증시는 세금이 인상된 해에도 대체로 좋은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세금보다는 경기와 통화정책 등 다른 많은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약 4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부양책을 공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부양책은 두 단계다. 이번에 발표될 부양책은 도로, 항만, 통신 등 물적 인프라에 투자하는 내용으로 2조2500억 달러 규모로 알려졌다. 몇 주 뒤 교육·복지 등 사회적 인프라 확충 관련 부양책을 추가로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행정부는 인프라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증세를 추진한다. 증세 규모는 10년간 3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WP는 △법인세율 인상(21%->28%) △무형자산을 통한 역외 소득에 대한 최저세율(GILTI) 인상(10.5%→21%) 등이 추진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스트레트가스의 댄 클리프튼 정책연구총괄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증시는 증세에 제대로 준비되지 않았다. 지난 1년간 강세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아왔는데, 이제는 문제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베스코는 "바이든의 증세 제안은 역사적 관점으로 봐도 규모가 크다"며 2021년 1400억 달러, 2022년 3000억 달러 등 2021~2030년까지 총 3조1000억 달러의 연방 세수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인베스코는 다만 법인세의 경우 28%로 높아져도 지난 수십 년간의 세율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법인세율은 1960~70년대 40% 수준이었고 1990~2017년 35% 안팎이었다.
인베스코에 따르면 과거 증세가 시행됐을 때 뉴욕 증시는 상승하기도 했고, 내리기도 했다. 1940~50년대에는 증세가 이뤄졌지만 강세를 보였다. 1970년대에는 감세가 단행됐는데도 인플레이션 급등 및 금리 상승으로 뉴욕 증시는 평균 이하의 수익률을 보였다. 1980~90년대에는 감세가 행해졌고 증시는 올랐다. 2000년대에는 감세가 이뤄졌지만 닷컴버블, 글로벌 금융위기 등이 터져 증시의 성과는 저조했다. 2010년대 초반엔 세율이 인상됐지만 경기 회복으로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집권했던 2013년 당시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실시했던 감세가 만료됐지만 증시는 그해 30% 이상 상승했다.
인베스코는 "역사적으로 보면 세금보다는 경기와 통화정책 등 다른 많은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면서 "세율과는 별 관계없이 시장은 꾸준히 상승해왔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골드만삭스는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한대로 증세 계획을 완전히 이행할 경우 S&P 500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이 9% 가량 감소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2022년 S&P 500 기업들의 EPS를 197달러로 전망한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중인 증세 방안 중 일부(법인세율 25%로 인상)만 통과되면서 기업들의 이익이 3% 감소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이를 기반으로 S&P 500 지수가 올해 말 4300, 내년 말 4600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만약 이익이 9%까지 줄어들면 골드만삭스의 S&P 500 전망치도 내려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