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효과에…한국 성장률 전망 2.8→3.3% '쑥'

입력 2021-03-09 19:15
수정 2021-03-09 19:28

이른바 '백신 효과'에 세계 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지리란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9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제시했다. 작년 12월 전망치(2.8%)보다 0.5%포인트 올려 잡았다. 이는 기획재정부(3.2%)와 한국은행(3.0%), 국제통화기금(3.1%) 등 전망치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2017년 3.2%를 기록한 뒤 2018년 2.9%, 2019년 2.0%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작년엔 코로나19 여파에 -1.0%로 역성장했다. OECD 전망이 현실이 되면 올해 한국 성장률은 4년만에 3%대 회복은 물론 2011년(3.7%) 이후 최고치를 찍게 된다.

한국 경제 전망이 밝아진 것은 세계 경제 회복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커서 세계 경제 흐름에 상당 부분 좌우되기 때문이다. 실제 OECD는 이날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4.2%)보다 1.4%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2007년(5.6%)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리라고 본 것이다. 지난해 3.4% 역성장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있음을 감안해도 높은 수준이다. 백신 보급 가속화로 경제 심리가 조기 회복되는 '상방 시나리오'에선 세계 경제 성장률이 7.0%까지 오른다는 게 OECD 전망이다.

OECD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와 주요국의 추가 재정 부양책 등으로 세계 경제 성장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미국 경제의 빠른 회복과 이로 인한 교역 상대국의 수요 증가 등이 세계 경제 회복에 기여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OECD는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2%에서 6.5%로 끌어올렸다. 특히 "최근 미국이 발표한 1조9000만달러 경기부양책의 성장률 제고 효과는 3%포인트를 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에 상향 조정된 미국 성장률(3.4%포인트)의 상당 부분이 재정 지출 확대에 있다는 얘기다.

미국 외에 인도(7.9% → 12.6%), 터키(2.9% → 5.9%) 등이 성장률 전망치가 많이 올랐다. . 일본(2.3% → 2.7%)과 유로존(3.6% → 3.9%) 등 상향 조정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중국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8.0%에서 7.8%로 하향 조정됐다.

한국 성장률 전망치(3.3%)는 이날 같이 발표된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14위 수준이다. 작년 한국 성장률(-1.0%)은 중국(2.3%)과 터키(1.8%)에 이은 3위였다. 다른 나라들은 작년 성장률 하락폭이 컸던 대신 올해 증가폭이 크고, 한국 경제는 지난해 상대적으로 선방한 탓에 올해 증가폭이 적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높이는 기관은 OECD뿐이 아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올 1월 세계 경제 성장률을 5.2%에서 5.5%로 상향 조정했다.

OECD는 이전보다 낙관적인 경제 전망을 제시하면서도 “변종 바이러스 확산 등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하며 인플레이션 가능성, 금융시장 취약성 등은 경제 위험 요소”라고 지적했다. 한국에서도 고개를 드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원자재 가격 및 유가 상승,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 등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은 아직 완만한 수준"이라고 했다. 다만 "주요 신흥국은 미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자본유출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계 경제 전반적으로 가계, 기업 부문의 부채 비율이 높고 채무불이행·파산 등으로 금융리스크가 확산될 우려도 있다"고 했다. 이런 부정적 요소가 심해질 경우 세계 경제 성장률이 4.5%에 그칠 것이라고 봤다.

정책 권고 사항으로는 코로나19 백신의 신속한 생산·보급을 1순위로 꼽았다. OECD는 "통화정책은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되 재정은 효과적이고 신속히 집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다만 "신규 재정지출은 피해계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에서 추진하는 전국민 코로나19 위로금 지급 등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OECD는 "디지털 부문 투자 확대, 기후변화 대응 정책 강화 등 경제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한 구조개혁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