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해외기관 뭉칫돈' 인도 증시로 몰렸다

입력 2021-02-08 17:14
수정 2021-02-09 00:44
해외 기관투자가들이 인도 주식시장으로 몰려가고 있다. 인도 정부가 외국인의 주식 지분율 규제를 완화하는 등 자본시장 개방 폭을 확대한 영향이다.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 주식시장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 금액은 총 234억달러(약 26조1750억원)로 2012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외국인의 인도 주식 매수세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큰 폭으로 늘어나며 다른 아시아 신흥국과 차별화된 자금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다수 신흥국은 코로나19 사태로 대규모 자금 유출을 경험한 뒤 지난해 4분기 들어서야 유출세가 완화됐다. 하지만 인도엔 지난해 4월부터 유입세가 재개되고 하반기엔 월간 기준 역대 최대 수준으로 유입액이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인도의 시장 개방과 구조개혁 효과를 이유로 지목하고 있다. 인도는 지난해 4월부터 외국인의 주식 보유 지분율을 기존 24%에서 최대 100%로 확대했다. 통신업, 건설 개발업, 민간 항공업, 케이블 네트워크, 전자상거래업, 면세업, 신용정보업 등의 외국인 보유 한도는 100%로 상향됐다. 생산성 증대를 위해 농업과 노동법을 개혁하고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등을 시행했다. 법인세는 낮췄다.

신술위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소비 회복과 재정지출 확대 전망 속에 인도의 경기 반등을 둘러싼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최근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로 신흥국의 자금 유출 압력이 증가하고 있지만 인도 시장은 당분간 주식 자금 유입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