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이어 등장한 대형 메기 '네이버통장'…활용법 ABC

입력 2020-05-15 14:02
수정 2020-05-15 17:02


'검색공룡' 네이버의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과 국내 1위(자기자본 기준) 증권사 미래에셋대우가 선보이는 '네이버 통장'의 등장이 예고되면서 금융권이 들썩이고 있다. 최고 연 3% 이자와 네이버페이 포인트 혜택까지 중무장한 만큼 금융권에 돌풍을 일으킬 지 관심이 쏠린다.

◆ 네이버페이 결제 10만원 넘으면 연 3% 이자

15일 이달 말 출시를 앞둔 '네이버 통장'의 혜택이 공개됐다. 네이버 통장은 시중은행이나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의 예적금 통장과는 조금 다르다. 증권사의 수시입출식 단기 상품인 종합자산관리계좌(CMA)기 때문이다. CMA는 은행의 보통예금처럼 수시입출금 기능과 이체·결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하루마다 이자가 붙는 방식이라 직장인들의 월급 통장으로 자주 쓰인다.

'네이버 통장'은 비대면 금융상품으로 출시되는 만큼 개설을 위해 증권사를 찾아갈 필요가 없다. 네이버 앱(응용프로그램)을 내려받은 뒤 네이버페이 링크를 통해 가입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를 자주 이용한다면 네이버 통장을 사용하는 게 이득이다. 통장 예치금 100만원 이내에서 네이버페이 전월 결제 실적이 10만원을 넘으면 최고 연 3%의 이자(세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네이버 통장 예치금의 100만원까지만 연 3%의 이자를 제공하는데, 전월 네이버페이 결제 금액이 월 10만원이 넘어야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월 네이버페이 결제 금액이 월 10만원 이하면 연 1%의 이자가 제공된다. 100만원 초과 1000만원까지는 연 1%, 1000만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연 0.55%의 이자가 적용된다.

네이버 통장에 100만원 이상의 금액을 넣을 경우 받을 수 있는 이자는 큰 폭 줄지만, 시중은행 예금금리와 비교했을 때 결코 적은 수준은 아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기본 예금금리(12개월 기준)는 0.55~1.45% 수준이다.

따라서 네이버페이를 자주 이용한다면 포인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만큼 시중은행에 예치해두는 것보다 유리할 수 있다.

네이버 통장으로 페이 포인트를 충전한 뒤 각종 결제처(네이버쇼핑과 예약, 디지털 콘텐츠 구매 등)에서 페이를 이용하면 결제금액의 최고 3%까지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 애용자들은 '네이버통장'을 통해 연 3% 수익 및 3% 포인트 적립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타행 송금이 횟수 제한 없이 무료인 점도 매력적이다.

◆ 이용자 많아 파급력 클 듯

네이버 통장의 성공 가능성은 벌써부터 높게 점쳐지고 있다. 앞서 네이버페이가 시행 중인 '선불 충전' 기능이 높은 호응을 얻고 있어서다. 네이버페이는 5만원 이상 충전시 해당 금액의 1.5%를 포인트로 즉시 적립해주고 있다. 고객 1인당 최대 200만원까지 선불 충전금을 예치할 수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준 네이버페이 거래액은 5조20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분기 5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 증가한 수준으로 네이버페이 포인트 충전액은 전년 동기 대비 8배 급증했다. 결제자수도 전년 동기 대비 23% 늘어난 1250만명에 달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페이 포인트 충전액은 이용자 충성도를 대변한다"며 "네이버 파이낸셜이 '테크핀'으로 확장해나가는 데 있어 좋은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네이버 쇼핑과 페이를 등에 업은 '네이버 통장'의 출현에 금융권에서도 바짝 긴장하는 모습이다. 이용자가 워낙 많은 만큼 파급력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3분기 기준으로 네이버페이의 이용자 수는 3000만명에 달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카카오뱅크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카카오라는 플랫폼이 있었기 때문인데, 네이버는 카카오를 월등하게 앞서고 있어 충분히 시장을 흔들어 놓을 것"이라며 "당장 내놓은 네이버 통장만 볼 것이 아니라 추후 추가될 투자상품, 보험 등을 생각하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건은 자금력이란 지적이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와 네이버통장 등은 초반 고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파격적인 금리 등을 제시하고 있다"며 "하지만 자금을 조달하는 창구가 적은 플랫폼 업체들은 지금과 같은 저금리 상황이 이어지면 파격적인 고금리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채선희/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