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한국신용평가의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한신평이 양사의 항공운임채권 자산유동화증권(ABS) 신용등급을 한 단계씩 낮춰서다. ABS의 신용등급이 일정 미만으로 내려가면 양사는 2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한꺼번에 떠안아야 할 수도 있다.
항공운임채권 ABS는 항공사들의 미래 매출을 담보로 발행한 채권이다. 미래에 안정적인 매출을 낼 것이란 전제하에 항공사들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미래 매출을 기초자산으로 삼기 때문에 ABS 신용등급은 회사 자체 등급보다 2단계씩 높게 책정된다. 신용등급이 ‘BBB+’인 대한항공의 ABS 등급은 ‘A’, ‘BBB-’인 아시아나항공의 ABS 등급은 ‘BBB+’로 평가되는 식이다.
문제는 양사 매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급격히 줄었다는 것이다. 이달 1~23일 국제선 노선 여객 수는 8만6514명. 코로나19 이전인 지난 1월(397만1285명)에 비해 98% 감소했다. 국제선 매출은 대한항공 전체 여객 매출의 94%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다.
한신평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ABS 등급을 각각 ‘A-’, ‘BBB’로 낮춘 건 이 때문이다. 안정적인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돈을 빌린 것인데, 매출이 쪼그라들면서 돈을 제때 갚을 수 있을지 의문이 생겼다는 것이다. 지난달 말 기준 대한항공의 ABS 발행잔액은 총 1조3200억원, 아시아나항공은 4688억원에 달한다. 신용등급이 더 내려가면 양사는 이 금액을 조기상환해야 한다.
ABS 조기상환 트리거가 발동하면 여파는 항공업계를 넘어 금융권으로 퍼진다. 업계 관계자는 “현금 여력이 없는 항공사들이 ABS 상환을 하지 못할 경우 신용공여를 한 은행들이 채무를 떠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 ABS 발행잔액 4688억원 중 3158억원에 대해 신용을 보강했다. 대한항공의 미주 노선 기반 ABS 4300억원은 신한·기업·KB국민·농협은행이 공여했다.
다만 산업은행이 이주 발표한 기간산업 지원책으로 양사는 한시름 덜게 됐다. 산은은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에 각각 1조 7000억원, 1조 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대한항공에 투입되는 자금 중 7000억원은 화물 운송 관련 ABS를 인수하는 데 쓰인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적시에 긴급 유동성 지원 방안을 마련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