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줄었는데 실업률은 개선?…체감실업률은 14% 넘어 '착시'

입력 2020-04-17 17:13
수정 2020-10-15 18:4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최악의 ‘일자리 참사’를 겪은 지난달 실업률은 1년 전보다 오히려 개선됐다. 고용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로 일거리가 사라진 일시휴직자 등이 포함된 체감실업률(확장실업률) 지표를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실업률은 4.2%로 지난해 3월의 4.3%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전인 2월(4.1%)과 비교해도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수치 변화가 작은 건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 비율을 뜻하는 실업률 특성 때문이라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실업자에 포함되려면 최소한 구직활동을 해야 하는데 코로나19 영향으로 구직활동이 줄어 3월 실업률이 1년 전보다 소폭 하락했다”고 말했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으면 통계상 비경제활동인구로 잡혀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실업자는 지난 한 달간 구직활동을 하고,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을 뜻한다. 코로나19로 일거리가 사라진 일시휴직자는 3월 말 기준 160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6만 명 늘었는데 이들은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통계청은 현실과 괴리된 실업률을 보완하기 위해 체감실업률 통계를 보조지표로 쓴다. 체감실업률에는 실업자 외에 ‘사실상 실업자’가 광범위하게 포함된다. 조사 기간 중 36시간 미만 일했으면서 추가로 더 일하고 싶어하는 ‘시간 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지난 한 달간 구직활동을 했으나 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잠재취업 가능자’,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한 ‘잠재구직자’ 등이 체감실업률에 반영된다.

지난달 체감실업률은 14.4%로 1년 전보다 1.8%포인트 상승했다. 통계를 작성한 2015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체감실업률이 높으면 향후 실업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일시휴직자가 실업자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은 국장은 “유급휴직자는 경제 상황이 나아지면 원래 일자리로 복귀해 취업자 범위에 들어가지만 무급휴직자 상태인 휴직자는 향후 실업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