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파일]수입차, 성장은 있어도 비전은 없다

입력 2014-01-22 21:47
수정 2014-01-22 21:42
<P class=바탕글>

<P class=바탕글>"관리자는 목표를 세우고, 리더는 비전을 제시한다."미국의 시인이자 역사가인 칼 샌드버그의 명언이다. 사람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리더의 조건이다. 반대로 보면 목표달성이라는 조직의 당면과제가 꼭 비전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P class=바탕글>

<P class=바탕글>지난해 수입차시장은 사상 최대 실적을 일궈냈다. 23개 브랜드가 총 15만6,497대를 판매, 전년 대비 19.6%의 고공성장을 달성한 것.이에 힘입어 내수 승용시장 점유율은 12%를 돌파했다. 역시 사상 최고 기록이다.실제 각사의플래그십 판매실적은 세계 상위권 수준이다.인구 5,000만 명에비춰 "믿을 수 없는성장"이라고놀라는 이도 있다.그렇다면 이런 수입차회사에서 일하는 직원들도 본인의 앞날이 밝다고 여길까. 안타깝지만 반대다. 비전이 없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보수가적어서 그런 게 아니다.더 이상 바라보고 올라갈 곳이 없어서다.흔히 '월급쟁이의 꽃은 임원'이라고 한다.오랜 시간 묵묵히 회사 임무에 열중하다 보면 언젠가 임원직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는 뜻에서 생겨난 말이다. 물론 임원이 되면 일반직에 있을 때보다 더 많은 책임이 요구된다. 그럼에도임원이 가진 매력은 적지 않다는 게일반적인 생각이다.최근 수입차업계에 외국인 임원 바람이 불고 있다. 수입차시장이 본격 성장하면서나타나는현상이다.한국시장 분석이끝났다고 판단한 본사가 수익관리를 위해 직접 임원을 파견학 있다.효율적인 회사 운영이나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속적인 성장 등을 도모하기에 효과적이라고 보는 듯하다. 이 때문에 한국인 직원의 임원 승진가능성은 점차 줄어드는 중이다.국제적 능력과 감각을 겸비한 외국인 상사의 존재가 자기성장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브랜드에 대한 이해나 시각은 다양한 경험을 체득한 외국인이 더 나을 수도 있다.문제는 한 번 외국인이 채운 임원자리가 좀처럼 한국인에게 돌아오지 않는 데 있다.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셈이다.그렇다고 본사에서 한국 인재에게 다양한 해외 경험을 보장하지도 않는다.이런 이유로 한국인 직원은 격무에 시달리다 때가 되면 직장을 옮기는 게 다반사다.옮길 자리가있으면 '대박'이라는씁쓸한 우스갯소리도 있다.물론 '평생 고용'은 무너진 지 오래다. 한 기업을오래 다니는 일이 명예로운 시대도 지났다. 이해에 따라 이직을 거듭하는 '메뚜기족'은 일반화됐다. 그럼에도 여전히 회사 일을 자기 일처럼 여기며일하는 직원이 적지 않다. 그런데 그들이 올라설 자리는 자꾸 좁아진다.성과와 효율을 위해 개인의 희생만을 강요받는 격이다.









<P class=바탕글>

<P class=바탕글>조직 구성원의 비전은 곧 조직의 비전이다. 목표를 향해 앞만 보고 달려가는 경주마보다 조금 더뎌도함께 성장하는 게 바람직하다.현재수입차시장이 그럴까.시장의 발전과 성숙을 위해서라도 반문하지 않을 수 없는 사안이다.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 [기자파일]자동차, 마이너리티를 응원한다▶ [칼럼]LPG 가격 인상, 읍소인가 전략인가▶ [기자파일]자동차 2000만대, 문화적 성숙이 필요한 때▶ [기자파일]소비자를 위해서라면? "따라해도 좋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