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불평등도 1.5% 개선돼
사망률과 출산율이 떨어지는 이른바 '고령화 경제'에서 정년을 57세에서 60세로 3년 연장하면 총생산이 6.7% 증가하고 소득 불평등도가 1.5%가량 개선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홍재화 서울대 교수와 강태수 한국은행 조사국 차장은 7일 '인구고령화와 정년연장 연구' 보고서에서 "고령화 경제에 정년연장 정책을 시행하면 고령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일부 완화된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사망률과 출산율이 함께 하락하는 고령화 경제에서 정년을 3년 연장하면 총생산은 정년 연장 전보다 약 6.7%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고령화 경제는 모든 연령의 사망 확률이 80년간 매년 1%씩 하락하고 인구증가율이 0.685%에서 0.3%로 하락해 80년이 지난 경우를 가정했다.
정년 연장에 따라 총노동투입량도 8%가량 늘고 50대 후반 이후 노동소득 증가로인해 은퇴자의 저축이 늘면서 총자본량도 약 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년을 연장하면 총소득 불평등도는 고령화 진행 전보다 1.5%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화로 인해 연금의 적자는 총생산의 2%까지 늘어나겠지만 정년을 연장하면은퇴자 수가 줄고 연금 세수가 늘기 때문에 적자 규모가 총생산의 1.0% 수준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정년연장은 연령대별로 다소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60세 근로자는 노동소득이 늘고 소비를 확대할 수 있지만, 20세 근로자는노동기간이 늘어나는 반면 노동공급 증가로 평균임금 수준이 떨어지므로 후생이 소폭 증가하는데 그친다는 것이다.
사망률과 출산율이 함께 하락하는 고령화 경제에서는 상충된 효과가 상쇄돼 총생산은 약 15.6% 감소하고 총노동투입량은 20%, 총자본량은 7%가량 감소할 것으로분석됐다.
두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정년연장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기업 노동수요를 확충하고 노동생산성을 유지할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 하며 청년층의 혜택을 늘리기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