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상반기 훼손화폐 17억원 교환…사찰연못 동전 475만원도

입력 2014-07-08 12:00
전체 폐기 지폐·동전 1조3천620억원…대체비용 264억원



한국은행이 올해 상반기 시민들에게 직접 새 돈으로 바꿔준 훼손 화폐가 약 17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8일 발표한 񟭎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 자료를 보면올해 상반기 손상 화폐를 들고 한은 화폐교환 창구를 찾은 시민들이 교환한 금액은16억9천1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하반기보다 2억7천만원(19.2%) 늘어난 수준이다.



이 가운데 손상 지폐 교환액은 8억2천100만원이고 나머지는 동전이었다.



손상 지폐의 액면금액은 8억8천100만원이지만, 일부는 훼손 정도가 심해 반액또는 무효 판정을 받았기 때문에 교환액이 액면액보다 6천만가량 적다.



손상 지폐를 권종별로 보면 5만원권이 5억3천900만원(65.7%)으로 가장 많고 1만원권(2억6천300만원·32.0%), 1천원권(1천100만원·1.4%), 5천원권(800만원·0.9%)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지폐의 손상 사유는 장판 밑에 눌렸거나 습기 때문에 부패한 사례가 1천5건(2억9천800만원)으로 가장 많고 불에 탄 사례 644건(4억2천100만원), 칼질 등으로 조각난 경우 516건(5천300마원) 순이었다.



실제로 제주도의 J씨는 장판밑에 5만원권으로 140여만원을 보관하다가 습기로부패하자 이를 교환했으며 전남의 A사는 5만원권, 1억2천700만원 등을 회사 운영자금으로 갖고 있다가 화재가 나 한국은행을 찾았다.



교환된 손상 주화는 100원화(4억3천800만원·50.3%), 500원화(3억7천100만원·42.6%), 50원화(4천500만원·5.1%), 10원화(1천700만원·1.9%) 순이다.



주요 교환 사례를 보면 전남의 한 사찰은 관광객이 연못 등에 던져 놓은 주화 475만원어치를 수거해 새 돈으로 바꿨으며 인천의 폐기물 처리업체는 건축 폐기물에서 수거한 동전 200여만원을 새 돈으로 교환했다.



한은뿐 아니라 시중은행 창구로 교환 요청이 들어오거나 유통수명이 다한 화폐까지 합치면 올해 상반기 폐기된 지폐와 동전의 액면금액은 1조3천620억원이었다.



작년 하반기보다 1천827억원(15.5%) 증가했다.



이를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264억원이다.



정상덕 한은 발권기획팀장은 "유통수명이 다해가는 지폐가 늘면서 폐기 화폐 규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훼손된 지폐는 원래 크기와 비교해 남은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액면금액 전액을, 5분의 2 이상이면 반액을 교환해준다.



불에 탄 화폐의 취급 요령과 손상화폐 교환 기준 등은 한은 홈페이지에 자세한설명이 게재돼 있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