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빚 부담으로 소비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김건우 선임연구원과 이창선 연구위원은 16일 '가계 흑자 계속되지만 소비 늘릴 여유는 없다' 보고서에서 최근의 가계 흑자는 소비 증가세 둔화에따른 '불황형 흑자'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가계의 흑자율은 2011년 1분기(21.5%)이후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3분기의 가계 흑자율은 27.5%로 2006년 1분기 이후최고치를 기록했다. 흑자율은 가계 흑자액(소득-지출)이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비중이다.
문제는 소득 증가보다 소비 둔화가 더 가파르다는 점이다.
2010년 이후 가계(2인 이상 도시가구 기준)의 연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4.5%로, 외환위기 이후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시기를 포함한 1999년∼2008년(6.2%)보다 다소 낮아졌다.
소비 증가율은 같은 기간 5.6%에서 2.7%로 더 가파르게 축소됐다.
특히 최근 소득 증가율과 소비 증가율의 격차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보다 더크게 벌어졌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가계부채의 원금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점, 미래를 대비해저축을 늘리려는 점 등이 불황형 흑자의 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가처분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한 비중은 2007년 2.0%에서 2012년 2.8%로 소폭 늘었지만 원금상환액 비중은 같은 기간 18.0%에서 28.9%로 크게 늘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저축성 보험 납입액 비중이 같은 기간 8.8%에서 9.8%로 높아지는 등 사적연금이나 저축성 보험 수요의 증가는 노후불안이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주거 형태별로는 자가주택 보유 가구가, 가구주의 직업별로는 자영업 가구의 흑자율 상승이 두드러진 점에 비춰볼 때 부동산시장의 침체나 경기 부진도 이들 가구의 소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대출 원금 상환 부담, 전·월세가의 상승 등 노후를 대비한 저축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가계의 '예산'을 제약하는 요인이 많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소비 축소와 저축 확대 압력이 이어지면서 경기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