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강세에 수출기업 채산성 악화 현실로

입력 2013-01-10 06:00
12월 수출물가 6.2% 하락…32개월만에 최대



원화 강세 기조에 작년 12월 수출입물가가 크게낮아졌다.



특히 수출물가는 4개월째 하락 흐름을 이어가 환율 하락에 따른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현실화되고 있다.



1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수출입물가지수' 자료를 보면 2012년 12월 수출물가지수는 11월 대비 -0.5%, 전년 동기 대비 -6.2%를 기록했다.



2010년 4월(-6.7%) 이후 최저다. 전년 동기 대비 수출물가는 9월 이래 넉 달 연속 떨어졌다.



특히 참치(-24.5), 조개(-8.8%) 등 농림수산품이 17.9%나 내려 낙폭이 가장 컸다.



수출주력인 공산품 물가도 6.1% 내렸다. 냉연강대(-24%), D램(-23.9%), 플래시메모리(-19.5%), 무선전화기(-15.2%), 중형승용차(-6.8%), 폴리에스터필름(-18.4%),선박엔진(-12.9%), 세탁기(-7.0%) 등이 많이 떨어졌다.



계약통화 기준으로는 전년 동월 대비 0.2%, 전월대비 0.5% 상승했지만 원화 환산 가격이 떨어져 실제 기업들이 손에 쥐는 이익은 적잖게 감소했다.



수입물가도 전년도 같은 달에 견줘 8.8% 하락했다. 이는 2009년10월 -15.3% 이후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이다. 전월대비 등락률은 -1.1%다.



전년 동월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은 9월 -2.4%, 10월 -6.4%, 11월 -7.6%로 내림폭이 계속해 커지고 있다.



부문별로는 원자재 수입물가가 유연탄(-36.2%), 천연고무(-24.1%), 냉동어류(-18.4%) 등의 하락세에 10.0% 내렸다.



중간재(-8.3%)도 판유리(-34.9%), 후판(-22.0%) 등 비금속광물ㆍ1차철강제품의영향에 동반하락했다. 벙커C유(-15.5%)나 액정표시장치(-12.6%) 등도 대폭 낮아졌다.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물가도 각각 7.9%, 4.7% 내렸다.



한은 관계자는 "12월 원ㆍ달러 평균 환율이 1,077원으로 전월대비 1.0% 절상됐다"며 "환율변동을 제외한 계약통화(수출입 거래에 사용되는 통화) 기준 수입물가는전년 동월 대비 2.4% 하락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한해 수입물가는 0.6% 수출물가는 0.2%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수출입물가지수의 편제기준연도를 2005년에서 2010년으로 개편해 이달17일 공표할 예정이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