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근호/추덕영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904/2019040784111_AA.19354886.1.jpg)
이미 통신장비주는 급하게 오르고 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 장비에 광트랜시버를 납품하는 오이솔루션은 지난해 46.6% 올랐고, 올 들어서도 지난 4일까지 40.9% 상승했다. SK텔레콤 사내벤처에서 시작해 독립한 에치에프알도 작년 8.7%, 올해 16.7% 올랐다. 최준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치에프알은 글로벌 주요 통신사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며 “세계적으로 5G가 상용화되면서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지금은 팔 때가 아니라 더 살 때”라고 덧붙였다.
통신장비 등 일부 종목이 급등하고 있지만 5G 테마 상승세는 초기 단계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동통신사의 5G 네트워크망 투자 규모는 앞으로 몇 년간 계속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5G 기지국을 지방에 확산시켜 전국망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
트래픽이 늘어나면 28기가헤르츠(㎓) 장비 투자도 뒤따르게 된다. 5G는 3.5㎓와 28㎓ 두 주파수 대역을 쓰는데, 지금은 3.5㎓를 중심으로 5G망이 구축돼 있다. 28㎓는 도달 거리가 짧아 더 촘촘한 기지국을 세워야 대용량 트래픽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5G 가입자가 늘면 초고화질 영상과 게임, 가상현실(VR) 콘텐츠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5G를 활용한 실감 미디어의 가장 쉬운 접목 사례는 게임”이라며 “새로운 이용자층이 유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TV 전문가인 박찬홍 파트너는 “5G 이동통신 시대의 개막은 쉽게 말하면 영화 한 편을 10초 안에 내려받는 시대가 열렸다는 것”이라며 “자율주행차와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어날 혁신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일러스트=추덕영 기자 ch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