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민주당 당정 협의
2030년 전력수요 예측치, 당초 전망보다 10% 줄여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가도 땅값 뺀 방식 전환 고려
탈원전 구색맞추기 우려
[ 이태훈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707/2017073126841_AA.14415434.1.jpg)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2022년까지 탈(脫)원전 정책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31일 밝혔다. 탈원전 정책이 전기요금 급등을 부를 것이란 일각의 주장에 대해 최소한 현 정부 임기 5년간에는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이 없다고 일축한 것이다.
하지만 여당과 정부의 ‘전기요금 낙관론’은 지나치게 보수적인 중장기 전력수급을 전제로 한 것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더구나 정부는 전력수급에 차질이 생겨 전기료 인상이 불가피하면 산업용 전기를 올려 대응하겠다는 방침이어서 ‘꼼수’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보수적 전력수급 전망에 ‘짜맞추기’?
![](http://img.hankyung.com/photo/201707/2017073126841_AA.14415997.1.jpg)
이 같은 논리는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보면 2030년 전력수요 예측치는 101.9GW다. 지난해 예측한 113.2GW보다 11.3GW 줄었다. 당정은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이 연평균 3.4%에서 2.5%로 낮아져 전기 사용량도 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수치가 탈원전 정책에 발맞추기 위해 보수적으로 계산된 것이란 비판이 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2012년부터 작년까지 최대 전력수요 증가율은 3.5%로 GDP 증가율 3.0%를 웃돌았다”며 “8차 계획의 최대 전력수요 증가율은 2018년부터 2030년까지 1.4%로 GDP 증가율 전망 2.5%보다도 크게 낮다”고 했다.
◆산업용 전기료 인상으로 벌충
당정은 에너지수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산업용 전기료 인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2022년까지 전기료가 인상되지 않는다는 것이 산업용 전기료도 오르지 않는다는 얘기는 아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전체 국민과 기업이 쓰는 전기료는 변동이 없어도 그 안에서 산업용과 가정용 전기료가 어떻게 바뀔지는 결정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2022년 이후 전기료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단가 하락 등으로 요금 인상이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불확실성이 큰 요소가 많아 장기적인 요금 영향 분석에 한계가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토지매입 비용은 고려 안 해
당정은 “원전 신재생 석탄화력 등의 발전단가를 새롭게 조정하겠다”고도 했다. 지금은 원전 발전단가가 신재생의 절반도 안 되는데, 환경과 사회적 비용 등도 고려한 ‘균등화 발전단가’를 올해 안에 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원전 발전단가를 올려 탈원전 정책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균등화 발전단가를 낼 때 토지매입 비용은 고려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1GW의 발전설비를 짓기 위해 필요한 면적은 원전이 60만㎡다. 태양광은 이보다 73배 넓은 44㎢, 풍력은 336배인 202㎢가 필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는 어떤 시설을 짓든 땅값이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라며 “단가를 계산할 때 이를 뺀다면 탈원전 정책을 위한 구색 맞추기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