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일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5/2016050477651_AA.11638304.1.jpg)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DGB금융은 1분기(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104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8% 감소했다. 같은 날 BNK금융은 1분기 순이익이 159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2% 늘었다고 발표했다.
BNK 금융에선 BNK캐피탈이 전년 동기보다 36.8% 늘어난 15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비(非)은행 계열사 실적이 크게 개선됐지만 주력 자회사인 부산은행 순이익은 지난해 1분기 1066억원에서 올 1분기엔 892억원으로, 경남은행은 820억원에서 767억원으로 감소했다.
DBG금융 역시 주력 자회사인 대구은행의 1분기 순이익이 8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 부진 여파로 대구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2.79%로 0.74%포인트 灸韆?반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비율은 1.28%로 작년 동기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
영남권 금융그룹의 실적이 크게 나아지지 않은 이유는 주력 자회사인 은행이 조선·해운 등 취약 업종 관련 여신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나이스신용평가가 지난달 말 기준 국내 11개 시중은행(특수은행 제외)·지방은행의 여신에서 조선 해운 철강 건설 석유화학 등 5대 취약 업종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을 집계한 결과 부산은행이 19.6%로 가장 높았고 경남은행(17.5%) 대구은행(13.2%) 등이 뒤를 이었다.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은행들은 추가로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 때문에 강화되는 은행 자본규제에 BIS 자기자본비율을 충분히 맞추는 데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나 박영봉 BNK금융 전략재무본부장은 “부산·경남은행은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다”며 “올해 초 4725억원의 유상증자를 하는 등 자본을 확충했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남권 금융그룹과 달리 취약 업종 여신 비중이 낮은 JB금융은 올 1분기에 전년 동기보다 158.8% 늘어난 55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JB금융 자회사인 광주은행은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822.1% 증가한 28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엔 경남기업 법정관리 여파로 실적이 극히 저조했다.
전북은행도 전년 동기 대비 22.9% 증가한 17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 밖에 여신전문회사인 JB우리캐피탈은 전년 대비 93.4% 증가한 19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그룹 순이익의 약 3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4月 장, 반드시 사둬야 할 新 유망 종목 2선 /3일 무료체험/ ▶ 지금 확인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