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게임업계는 박근혜 정부가 이명박 정부의 바통을 이어받아 게임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화부와 여가부, 복지부까지 게임 산업 규제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서다.</p> <p>11일 문화연대(www.culturalaction.org)가 이에 대한 '게임을 4대 중독물질 포함은 편협적인 마녀사냥이다'라는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며 강도 높게 반박했다. 개발자연대도 13일 '2012년 기준 현재 10만 명에 달하는 게임종사자들은 대한민국에서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마약 제조에 비유되고 중독유발물질을 만드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을 넘어 이제는 '4대악'을 만드는 혐오 산업 종사자가 될 위기에 처해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p> <p>24일에는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이하 K-IDEA, 이전 한국게임산업협회)는 '콘텐츠 수출의 60% 이상을 담당하는 게임 산업에 종사하는 10만 게임 산업인은 마약 제조업자가 아니다.' 규탄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p> <p>
![]() | ||
다음은 신해철이 남긴 트윗 전문입니다.</p> <p>애시당초 '게임셧다운제'에서 못막았으니 더 치고들어올 밖에. 국민을 '통치'하고 '교화'할 '백성'으로 보는 문제보다는 그렇게라도 좋아지면 되는 게 아니냐는 노예근성들이 문제. '비대한 공권력'이 오만을 두르고 다음번에 침입하는건 너네집 안방이다.</p> <p>게임중독이 과연 약물중독과 같은 차원인가하는 찌질한 논쟁은 핵심이 아니다. '게임에 중독될 수 있는 권리' 또한 존재할 수 있어야 하며, 오만한 공권력이 함부로 개인의 삶과 가치를 규정하는 데서 생기는 해악은 게임중독과는 비교도 되지않는 악 그 자체다.</p> <p>게임중독자들이 생겨나는 원인은 게임 밖의 세상이 거지같기 때문일진데, 그들에게 마땅히 제시할 찬란한 비전이 없다면 모욕하고 통제하기 전에 비타민제나 싸게 공급해라. 웃긴건, 모욕은 가능하지만 결국 통제는 뻔히 불가능한데도 죽어도 그걸 모른다는게.
</p>
謹弔 '중독법'은 게임 사망선고' 강력 투쟁 돌입
황우여 대표 '게임은 알콜-마약-도박과 4대 중독'
문화연대 '게임 4대중독 반대, 마녀사냥식 규제 중단'
게임개발연대 '황우여 대표 4대악 발언 사과하라'
최민희 의원 '여당은 4대惡, 미래부 진흥' 게임정책 질타
게임톡(http://www.gametoc.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강연회] 2013 제 5회 한경 가치투자 대강연회 (11/13 여의도)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