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코로나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거치며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시장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8/30/PYH2023083009520001300_P2.jpg)
28일 대한상공회의소의 유통 전문 뉴스레터 '리테일톡'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는 글로벌 건기식 시장이 올해 1천334억달러 규모에서 2024년 1천411억달러, 2025년 1천487억달러, 2026년 1천565억달러, 2027년 1천646억달러로 매년 5%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경선 유로모니터 총괄매니저는 "경기 불황과 물가 상승으로 소비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소비자의 건기식 구입은 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코로나로 건강 불안증을 갖게 된 소비자들이 건기식 섭취로 심리적 위안과 안정을 얻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9/27/AKR20230927030300003_01_i.jpg)
건기식 소비 트렌드에도 이 같은 변화가 감지된다.
유로모니터의 '건기식 기능 포지셔닝별 판매 비중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가 구입한 건기식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기능은 면역력 증진(11.5%)이었다.
이어 소화기능 개선(11.2%), 뷰티(7.4%), 관절건강(6.3%), 기억력 개선(3.2%), 여성 건강(3.2%), 기분·스트레스 완화(1.8%) 등의 순이었다.
앞서 2012년과 2017년 조사에서는 소화기능 개선이 각각 9%와 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면역력 증진은 8.2%와 10.4%로 2위였으나, 코로나를 계기로 순위가 바뀐 셈이다.
최근 북미와 유럽 건기식 시장에서는 식물성 원료, 즉 허벌(herbal) 성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북미의 경우 2017년 44억5천만달러 규모였던 허벌 건기식 시장이 2022년 68억달러 수준으로 확대된 데 이어 2027년에는 74억5천만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미 허벌 건기식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유로모니터 기준 아시아 허벌 건기식 시장 규모는 2022년 218억5천만달러 수준으로, 2027년에는 239억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문 총괄매니저는 "코로나 이후 건기식 소비층이 갈수록 젊어지고 있다"며 "청소년과 어린아이로 소비층이 확대되다 보니 부작용 우려가 적은 성분을 선호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진 것도 허벌 건기식 성장에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hanajj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