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 수서∼동탄 GTX-A 열차로 17분에 주파…최대 속도 180㎞/h
원희룡 "승차감 생각보다 좋아…전문가들이 깐깐히 점검해 주길"
현대로템 연구소장 "직장인·학생들에 시간 돌려드릴 좋은 열차로"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9/21/PYH2023092100510001300_P2.jpg)
(서울·화성=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막차 외에는 열차 운행이 모두 종료된 21일 오전 1시.
평소라면 적막할 서울 강남구 수서고속철도(SRT) 수서역 플랫폼에 SRT 열차가 아닌 처음 보는 열차 한 대가 불을 환히 밝힌 채 서 있었다.
매끈한 하늘색과 흰색 도장에, 한눈에도 새것 같은 열차 옆면에 'GTX-A' 로고가 보였다. 길이 20m가량의 열차 칸이 총 8량 이어진 이 열차는 내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노선에 실제 투입될 차량이다.
국토교통부 출입기자단은 이날 수서역과 화성 동탄역 사이 약 40㎞ 구간을 시운전 중인 GTX-A 열차에 처음으로 시승하는 기회를 얻었다.
이날 시승에는 원희룡 장관을 비롯한 국토부 공무원들과 SR 이종국 대표이사, 임종일 국가철도공단 부이사장과 열차 제작사인 현대로템 임직원 등이 참여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9/21/PYH2023092100470001300_P2.jpg)
시운전은 새로 도입하는 열차 차량이 설계대로 만들어졌는지, 실제 운행과 유사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달리는지를 검증하는 절차다.
수서∼동탄 구간에서는 GTX-A 열차가 개통 이후 SRT와 선로를 함께 쓰게 되는데, 지난달 말부터 SRT가 운행을 마친 심야 시간을 활용해 일주일에 한 번씩 시운전하고 있다. 어느 정도 운행이 안정화된 이후인 다음 달 17일부터는 주간에도 시운전할 예정이다.
이날 탑승한 열차는 한 칸에 무게 1.5t가량의 물탱크 10여개씩을 싣고 있었다. 현대로템 이원상 레일솔루션연구소장(상무)은 "열차 정원인 1천62명(혼잡률 100%, 입석 포함)이 모두 탔을 때의 무게와 비슷하게 맞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열차 내부는 신형 지하철과 같이 좌석 위에 짐을 싣는 칸이 따로 없었다. 좌석 사이사이에 철제 분리대가 있고, 좌석 폭이 일반 지하철보다 약 3㎝ 넓은 점이 특징이었다. 출입문도 일반 열차보다 넓은 130㎝ 폭의 '와이드타입 도어'를 국내 최초로 적용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9/21/PYH2023092100390001300_P2.jpg)
GTX-A 열차의 운행속도는 최대 시속 180㎞로, 지하철의 2배 수준이며 준고속열차인 ITX-청춘과 비슷하다. 출발역부터 도착역까지 정차·승하차 시간까지 포함해 계산한 평균 속도인 '표정(表定)속도'는 시속 101㎞로 지하철보다 3배 이상 빠르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9/21/PYH2023092100300001300_P2.jpg)
GTX-A 열차가 한계까지 속도를 높이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8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GTX-A 열차는 8량 중에서 4량이 추진력을 내는 '동력 분산식'이기에 다른 고속열차에 비해서도 가속이 굉장히 빠르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이날 GTX-A 열차를 타는 내내 큰 흔들림이나 소음은 느끼지 못했다. 아무것도 잡지 않고 서 있는 데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였다. 최대 속도에 가깝게 가속할 때도, 터널을 지날 때도 소음과 진동이 특별히 심해지지는 않았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9/21/AKR20230921013800003_11_i.jpg)
이원상 소장은 "출입문은 '리프팅 슬라이드' 방식을 사용해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했고, 창문도 고속철도와 같은 것을 적용해 소음과 진동을 잡았다"고 설명했다.
원 장관은 "속도를 올렸는데도 기존 지하철이 조금 빨리 달리는 정도일 뿐 특별히 불편하지 않았다"며 "승차감이 생각보다 잘 갖춰진 것 같아서 우선 마음은 놓이지만, 전문가분들이 시운전 동안 깐깐하게 점검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시운전을 통해 수서에서 동탄까지 쉼 없이 달리는 데 걸린 시간은 단 17분. 성남·용인역이 개통되면 감속과 정차 시간 등이 더해져 28분이 소요된다. 이 소장은 "직장인들과 학생들에게 아침 시간을 돌려주고, 저녁에 가족들과 함께 식사할 시간을 드리는 좋은 열차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9/21/AKR20230921013800003_08_i.jpg)
지난해 12월 출고된 GTX-A 차량은 우선 오송 시험 선로에서 5천㎞의 예비 주행 시험을 마치고, 지난 4∼8월 중부내륙선에서 1단계 시운전을 거쳤다. 오는 12월까지 이어지는 2단계 시운전을 마치면 다시 내년 2월까지 3단계 시운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GTX-A 차량은 시운전 기준인 1만㎞의 3배인 3만㎞를 시험 주행할 예정이다. 무리하게 개통을 앞당기기보다는 안전과 기능 안정화에 최선을 다한다는 취지다.
이 소장은 "어제 자로 시험 주행 거리가 2만3천㎞를 넘었다"며 "과도하다 싶을 만큼의 시운전을 통해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열차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기 파주 운정역에서 서울 삼성역을 거쳐 동탄역까지 82.1㎞ 구간을 잇는 GTX-A 노선은 내년 4월 수서∼동탄 구간을 먼저 개통하고, 하반기 운정∼서울역 구간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위탁받아 건설 중인 GTX-A 삼성역 정거장이 오는 2028년 완공되면 전 구간이 개통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9/21/AKR20230921013800003_13_i.jpg)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