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 첫 공연서 '메커니즘'·'사라지는 모든 것은 극적이다' 2작품 선보여
유료에도 500석 공연장 만석…마드리드·맨체스터·런던서도 공연 예정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17/AKR20230417154000098_01_i.jpg)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한국 문화에 관심은 많지만, 현대무용은 브뤼셀에서도 자주 접하기에 큰 기대는 안하고 왔는데 정말 놀라운 무대였어요."
지난 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왕립플레미시극장(KVS)에서 열린 국립현대무용단 공연 뒤 만난 벨기에 국적의 피터르 드 네이겔(36)씨는 두 엄지를 치켜세우며 이렇게 말했다.
동생과 함께 공연을 보러 왔다는 그는 "무용수들이 서로 조금의 균열도 없이 합을 맞추면서도 온몸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에 감탄했다"며 "앞으로도 한국 무용수들의 공연이 있다면 꼭 보러 가고 싶을 것 같다"고 전했다.
이날 공연은 올해 한-유럽연합(EU)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주벨기에유럽연합 한국문화원 초청으로 기획된 첫 문화행사다.
작년 초연된 무용단 이재영·허성임 안무가의 최신작 '메커니즘', '사라지는 모든 것은 극적이다' 등 두 작품이 현지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17/AKR20230417154000098_02_i.jpg)
이재영 안무가의 '메커니즘'은 사람 신체의 관절을 '축'으로 인식하고, 이 축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움직임을 안무에 적용한 작품이다. 작고 단순한 관절의 움직임이 다른 부위로 전이되고 입체적 동작으로 증폭되는 과정을 표현했다.
허성임 안무가의 '사라지는 모든 것은 극적이다'는 자연적이지만 낯설고 때로는 두렵기도 한 '죽음'을 다뤘다. 작년 초연 당시 전석 매진을 기록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날도 유료 공연임에도 500석 가까이 되는 공연장이 현지 관객들로 가득 찼다. 케이팝, 클래식, 영화 등에 이어 '색다른' 한국 문화 콘텐츠도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공연을 관람한 애슐린 파롤린 현지 현대무용 안무가도 "장르의 경계를 뛰어넘는 창의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라며 "세부적인 동작까지 통제하는 한국 무용수들의 뛰어난 움직임도 매우 인상 깊다"라고 호평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17/AKR20230417154000098_03_i.jpg)
'메커니즘'에 참여한 김혜진 무용수(35)는 "객석이 꽉 차서 깜짝 놀랐고, 한국 관객분들이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집중해서 보신다면, 유럽 관객들은 전체적인 무대를 즐기듯 더 열린 입장에서 무대를 보시는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첫 무대부터 생각지도 못하게 큰 호응을 받아서 힘을 내 나머지 투어도 잘 마무리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립현대무용단은 브뤼셀 공연을 시작으로 스페인 마드리드(21일), 영국 맨체스터(24일)에서도 순회공연에 나선다. 28∼29일에는 런던 더 플레이스에서 열리는 '코리안 댄스 페스티벌'을 통해 현지 관객들과 만난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