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8월 누적 지수 -6.63%…2006년 실거래가 조사 이래 가장 높아
전국도 낙폭 역대 최대…금리 인상 기조에 지수 하락 이어질 듯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올해 들어 8월까지 서울 아파트 누적 실거래가지수 하락률이 1∼8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실거래가지수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지난 8월 2.56% 떨어져 두 달 연속 지수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 7월 3.94% 급락했던 것에 비해 낙폭은 다소 둔화했지만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하락률은 -6.63%로, 부동산원이 2006년 실거래가지수 산출을 시작한 이래 1∼8월 기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실거래지수도 지난 8월 1.88% 떨어지면서 8월까지 누적 하락률이 -5.16%에 달했다.
이는 1∼8월 기준으로 종전 최대 하락치인 2010년의 -1.71%을 크게 웃도는 것이면서 2006년 실거래가지수 조사 이래 연간 최대 하락률도 넘어선 것이다.
종전까지 연간 변동률로는 2008년의 -4.01%가 가장 크게 떨어진 것이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최근 계속되는 금리 인상에 따른 거래 절벽 속에 종전 거래가보다 가격을 낮춘 '급급매물'만 극소수 팔리면서 실거래가지수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10/17/AKR20221017165300003_01_i.jpg)
서울 아파트 8월 권역별 실거래가지수는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이 -3.16%로 가장 많이 떨어졌다.
영등포·양천·강서구 등이 있는 서남권이 2.80% 하락하며 뒤를 이었고,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이 있는 동북권이 2.41%, 은평·마포·서대문구 등이 있는 서북권은 1.66% 각각 하락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 아파트 단지에는 최근 다주택자 또는 일시적 2주택자가 내놓은 매물이 고점대비 6억∼7억원 떨어진 가격에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노원구 상계동 일대도 주택형에 따라 시세에서 1억∼2억원 떨어진 매물만 겨우 팔릴 정도다.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2.53%, 지방은 1.14% 각각 내렸다.
지수 하락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최근까지 거래 신고분으로 전망한 9월 실거래가 잠정지수는 서울이 -1.82%, 전국이 -1.48% 선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최장 연말까지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반면 매수심리는 갈수록 위축되는 분위기"라며 "실거래가 지수 하락도 한동안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s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