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근무행태 및 시간 관련 어휘 인기어
(서울=연합뉴스) 정재용 기자 =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百度)에서 올 한 해 탄력근무시간제(flexible work·靈活的工作制度), '715' 등 근무 형태와 관련한 단어들이 많이 검색된 것으로 드러났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이들 단어가 올해 바이두의 10대 인기 검색어 리스트에 올랐다면서 이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이 있다고 보도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2/16/AKR20201216070900009_01_i.jpg)
코로나19 사태로 야기된 노동과 일상생활의 변화가 바이두의 검색어에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선택해 정해진 근로시간을 맞추는 탄력근무시간제의 확산은 중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이 제도는 코로나19의 감염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715'는 일주일 내내 하루 15시간 일한다는 뜻이다.
이 용어는 중국의 코로나19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2월 음식점 운영업체인 시베이 케이터링 그룹의 자궈룽 회장이 어려움에 처한 중국 요식업계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유행했다.
이밖에 '클라우드 감독관'(cloud supervisors)라는 단어도 인기 검색어에 올랐다.
이 단어는 베이징(北京) 시민들이 농담조로 코로나19 핵산 검사를 받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고 한다.
jj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