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원주 연결선 공사비 빠져…원주에선 환승해야
목포∼강릉 운행시간 3시간 30분 불가능, 봉양역은 경유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7/11/02/C0A8CA3D0000016486E6D24700007191_P2.jpeg)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이 정부의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저속철'을 면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청주 오송 연결선과 강원도 원주 연결선 공사비가 총사업비에 포함되지 않은 탓이다.
이대로 공사가 이뤄진다면 5시간 30분 걸리는 목포∼강릉 운행시간을 3시간 30분으로 단축하겠다는 충북도의 구상은 실현되기 어렵다.
충북도는 15일 더불어민주당과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정부가 정한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계획을 공개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15/AKR20190315086151064_02_i.jpg)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가 정한 사업비는 청주공항∼제천 원박(78㎞) 철도 고속화 1조1천770억여원, 원박∼제천 봉양 경유선 7㎞ 2천747억여원이다.
총 1조4천518억원이다.
정부의 숫자 표기 특성상 공사비가 반올림된 1조5천억원으로 표기됐다는 게 충북도 설명이다.
도가 당초 정부에 제출한 오송 연결선(7.5㎞) 1천938억원과 원주 연결선(9㎞) 1천696억원의 공사비는 빠졌다.
목포∼광주∼익산 고속선을 이용한 열차가 오송을 앞두고 연결선으로 갈아탄 후 충북선에 진입한다는 게 충북도 구상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익산을 통과한 열차가 호남선 일반선으로 갈아탄 후 논산, 서대전, 신탄진, 조치원을 거쳐 오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계획을 짰다.
이렇게 되면 오송 연결선 공사가 필요 없지만 열차 운행시간은 애초 계획보다 40여분 늦어지게 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15/AKR20190315086151064_03_i.jpg)
더욱이 원주 연결선 공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강릉으로 가는 승객들은 원주에서 강릉행 열차로 환승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목포∼강릉 운행시간은 더 길어진다. 5시간 30분에서 3시간 30분으로 단축하겠다는 충북도 계획은 요원해진다.
도 관계자는 "정부안대로 공사가 추진된다면 충북선 고속화 철도가 저속 철도로 전락하면서 강호(강원∼충청∼호남) 축의 의미도 상실된다"고 우려했다.
정부 계획에 충북도가 추진하는 봉양 경유선 공사비가 포함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충북선 고속 열차가 봉양역조차 경유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제천 시민들의 우려는 다소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다.
이시종 지사는 이날 민주당-충북도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오송·원주 연결선 공사비 총 3천634억원이 정부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15/AKR20190315086151064_04_i.jpg)
이 지사는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려면) 세부 사항이 많이 남아 있다"며 "오송·원주 연결선 사업비가 꼭 반영돼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 지사는 또 구불구불한 제천 삼탄∼원박 4㎞ 구간의 선로를 개량해야 고속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며 1천500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반영해 달라고 민주당에 건의했다.
이렇게 되면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 예산은 1조9천653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 지사는 충북선 고속 열차가 경유선을 통해 제천역으로 간 뒤 봉양역을 거쳐 원주로 향하는 방안도 민주당에 건의했다.
6천억∼7천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한 제천역 경유 방안은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열차 운행 거리는 20㎞, 운행시간은 10분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충북도는 오는 6월 말까지 이뤄질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때 오송 연결선과 원주 연결선 공사비가 포함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를 설득할 계획이다.
k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